환자 썸네일형 리스트형 심부전 환자에서 적당한 나트륨 섭취 제한 심부전 환자에서 높은 나트륨 섭취가 심부전을 악화시킬 수 있으나, 식이 나트륨을 제한하는 것이 임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여전히 논란이 됩니다. 식이 나트륨을 많이 줄이면 심부전 악화가 덜 되는가? 다음 저널은 안정적 심부전 환자 8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일반적 나트륨 섭취군과 저나트륨섭취군 (4 g/day의 높은 나트륨 섭취가 해로울 수 있다는 경험적 근거와 6g/day의 과도한 나트륨 섭취를 피하라고 제안합니다. Summary Background Dietary restriction of sodium has been suggested to prevent fluid overload and adverse outcomes for patients with heart failure. We designe.. 문정동내과 고혈압 낮추는 방법 ② 누가 약물 치료를 받아야 하는가? 고혈압 낮추는 방법 ② 누가 약물 치료를 받아야 하는가? https://blog.naver.com/sjloveu2/222342160525 혈압 낮추는 방법 : 약물 치료 ① 혈압을 낮추는 방법은 비약물적 치료와 약물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비약물적 치료 방법으로는 식이 ... blog.naver.com 누가 약물 치료를 받아야 하는가? Who should be treated with pharmacologic therapy? 고혈압 약제의 이득을 고혈압 약물 치료로로 입증한 무작위 시험들은 다양한 inclusion criteria와 혈압을 측정하는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했습니다. 따라서 임상 시험들에서 잘 대변되지 못했던 개별 환자에서 항고혈압 약물 치료를 시작할지 결정하는 다소 불확실합니다. 고.. 무증상인 Brugada pattern 환자의 치료, Asymptomatic patients with the Brugada ECG pattern 무증상이고 Brugada syndrome을 시사하는 진단 기준에 해당하는 것이 없는(no personal history of ventricular tachyarrhythmias or syncope suspected to be arrhythmic in origin, and no family history of sudden cardiac death or type 1 Brugada ECG pattern) Brugada ECG pattern 환자에서 치료를 권고하지 않습니다. 이 권고사항은 2017 AHA/ACC/HRS guidelines과 일치하며 단지 Brugada pattern ECG가 있는 환자에서 SCD 또는 ventricular tachyarrhythmias의 상대적으로 낮은 발생률과 ICD impl.. [Reflux esophagitis] 역류식도염2 [환자 설명] 40대 환자 2일 전부터 발생한 다음 증상으로 내원하였습니다. 콧물, 기침, 가래 목의 이물감, 흉부 불편감 P '목의 이물감이 있어서 역류식도염인 것 같습니다. 이전에 내시경을 했는데 역류식도염이 있다고 했습니다' D '목의 이물감과 콧물, 가래가 비슷한 시기에 시작되었나요?' P '네' D '목의 이물감과 상기도 감염 증상과 비슷한 시기에 시작되었다면 목의 이물감이 역류식도염 때문일 가능성은 떨어집니다' 환자는 다음과 같이 생각한 것 같습니다. 이전에 내시경에서 역류식도염이 있었다 -> 최근에 이물감이 생겼다. --> 그래서 역류식도염 때문에 이물감이 있는 것 같다. 의사는 다음과 같이 생각합니다. 목의 이물감이 콧물, 기침, 가래 증상과 같이 생겼다. -> 그래서 목..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 급여기준 이전 블로그 글인데, 시간이 지나니 가끔 혼동되는 경우가 있어 다시 포스팅합니다.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와 사용되는 수면 약제에 급여기준이2017.2.1일자로 바뀌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 급여기준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는 소화기․기관지 내시경 검사 및 시술 시의 환자관리 행위로서 환자 평가 및 설명, 진정 유도 및 활력징후 감시, 진정 각성 및 회복 등의 과정을 시행한 경우에 산정가능하며 「건강보험 행위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상대가치점수」 제1편 제2장(검사료) 또는 제9장(처치 및 수술료 등)에 분류된 행위 중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 요양급여하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급여함. 나. 급여대상 및 범위1)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에 따른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희귀.. KSHF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Heart Failure: Part II. Treatment of AHF ② 블로그 글 순서1. 약물치료 2. Device 치료와 수술 치료 - 이번 블로그 내용3. 급성 심부전 환자의 모니터링4. 병원 퇴원DEVICE THERAPY AND SURGICAL TREATMENT Ultrafiltration1. Ultrafiltration은 체액 저류가 있는 급성 심부전 환자에서 과도한 체액을 제거하고 울혈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class of recommendation IIb, level of evidence B).2. Ultrafiltration은 고식적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울혈성 심부전 환자에서 고려되기도 합니다(class of recommendation IIb, level of evidence C).Intra-aortic balloon pump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