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바이러스제

원숭이두창 처치 (치료, 항바이러스제포함) 대부분의 원숭이두창 환자들은 경증이고 의학적 개입 없이 회복됩니다. 오심/구토/연하곤란이 있어 탈수에 대한 위험 요인이 있는 사람들은 IV 수액을 위해 단기간 입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중증 환자들에게 감염으로부 회복될 때까지 supportive care가 필수적입니다. ​ 대부분의 원숭이두창 환자들은 경증, 저절로 호전됩니다. 그러나 중증 질환과 면역억제 환자, 8세 미만, 임신부, 수유부, 감염 합병증 환자와 같이 중증 질환에 대한 위험 요인이 있는 환자드에서는 항바이러스제가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입, 눈, 생식기와 같이 전통적으로 비전형적 부위에 원숭이두창 감염이 있는 경우 고려될 수 있습니다. ​ 면역이 억제된 사람들이란 진행된 HIV-1 감염, 백혈병, 림프종, 전신 악성암, 고형장기이..
[코로나19] 팍스로비드 [Paxlovid], 경구 COVID-19 항바이러스제 이번 블로그 글은 새로운 COVID-19 항바이러스제 중에서 팍스로비드 (paxlovid, Pfizer)에 대한 내용입니다. ​ 먼저 요약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COVID-19 외래 환자 치료를 위한 약제로 1) 단클론 항체와 2) 새로운 경구 항바이러스제가 있다. ■ 팍스로비드는 2) 새로운 경구 항바이러스제 중의 하나이다. ■ 팍스로비드는 경구 protease inhibitor인 nirmatrelvir와 ritonavir의 병합 약제이다. ■ Nirmatrelvir는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효소인 SARS-CoV-2-3CL protease의 활성을 차단하며, 동반 투여하는 ritonavir는 nirmatrelvir의 대사를 느리게 하여 체내에서 nirmatrelvir의 활성이 더 오래 지속되고..
임신부에서 만성B형 항바이러스제 사용, Antiviral agent in women who are pregnent 항바이러스제를 복용 중인 만성B형간염 임신부가 약 복용을 지속하기로 결정한 경우, 기존 약제가 entecavir, adefovir, TAF라면 TDF로 변경하여 치료를 지속합니다. TDF는 임신부에서 안전한 것 같으며 안전 데이터도 더 많습니다. ​ 임신부에서 항바이러스제 사용 시작 여부 결정은 임신부가 아닌 경우, 즉 일반적인 적응증과 비슷합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항바이러스 치료가 권고됩니다. ALT 수치가 정상 상한보다 2배 보다 높고 1. HBeAg-positive 환자에서 HBV DNA >20,000 IU 2. HBeAg-negative 환자에서 HBV DNA ≥2000 IU ​ 그러나 간경변증이 없는 임신부에서 몇 가지 시나리오는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1. ALT가 정상 ..
Glecaprevir+Pibrentasvir 경구제 (품명: 마비렛정) 고시 2020.01 구 분 세부인정기준 및 방법 [629] Glecaprevir+ Pibrentasvir 경구제 (품명: 마비렛정)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 가. 대상 환자 및 투여 방법·기간 대상 환자: 성인 만성 C형 간염 환자 중 투여 방법·기간 유전자형 1,2,4,5,6형 이전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 간경변이 없거나 대상성 간경변 있음 이 약 8주 유전자형 3형 이전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 간경변 없음 이 약 8주 대상성 간경변 있음 이 약 12주 유전자형 1형 인터페론, 페그인터페론, 리바비린 및/또는 소포스부비르 치료에 실패한 환자 간경변 없음 이 약 8주 대상성 간경변 있음 이 약 12주 이전 ..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XIII 치료 종료 및 종료 후 모니터 치료 종료의 임상적 지표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간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낮추고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궁극적인 치료 목적에 도달하였음을 확인한 후 치료 종료를 결정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치료의 종료를 고려하고자 한다면 치료 목적을 잘 반영할 수 있으면서 치료 중 측정이 용이한 대체 지표의 변화를 치료 목표로 삼아 종료 시점을 선택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임상에서는 ALT 정상화, 혈청 HBV DNA의 불검출, HBeAg의 혈청소실 및 전환, HBsAg 혈청소실 및 전환 등을 치료 목표로 이용하고 있다. 다만, 간경변증 환자에서는 치료 종료 후 재발 시 이로 인하여 심각한 간부전의 위험 부담이 있어 약제의 종료는 권고하지 않는다.​페그인터페론은 48주간 투여하는 것..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XI 치료 반응의 정의와 예측인자 치료 반응의 정의(1)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바이러스 반응(virologic response)은 혈청 HBV DNA가 real-time PCR 검사법으로 검출이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Table 6). 지속 바이러스 반응(maintained virologic response)은 추적 관찰 기간 중 바이러스 반응이 도달한 이후 혈청 HBV DNA 미검출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를 뜻한다. 부분 바이러스 반응(partial virologic response)은 혈중 HBV DNA가 감소하였으나, realtime PCR 검사법으로 바이러스가 검출되는 경우를 말한다. 약제에 순응도가 높은 환자에서 낮은 유전자 장벽을 가지고 있는 라미부딘, 텔비부딘과 같은 약제의 경우에는 치료 시작 후 24주째에, 엔터카비어, 테노포..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X 치료 약제 (5) 낮은 유전자 장벽의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낮은 유전자 장벽의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라미부딘, 텔비부딘, 클레부딘, 아데포비어는 HBeAg 양성 및 음성 만성 B형간염 환자의 1차 치료약제로는 권고되지 않지만, 높은 유전자 장벽의 약제가 등장하기 전 임상에서 사용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투약하고 있는 예들이 있어 간단히 요약하였다. 약제들 각각의 기전과 치료 효과, 약제 내성, 부작용 및 안전성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2015년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중 치료약제들 편을 참조한다.​(1) 라미부딘라미부딘(lamivudine)은 뉴클레오시드 유사체(cytidine analogue)로 HBV 증식을 억제한다.​1) 치료 효과HBeAg 양성 만성 B형간염: 라미부딘을 1-3년간 투여하였을 때 50% 이상의 환자에서 조직 소견이..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IX 치료 전략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IX 치료 전략현재 항바이러스 치료제로 승인된 약제는 페그인터페론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들이 있으며,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들은 내성 발생률에 따라 높은 유전자 장벽을 보이는 약제들과 그렇지 않은 약제들로 구분할 수 있다(Table 4). 항바이러스 치료를 시작할 때에는 페그-인터페론 단독 치료,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단독 치료 그리고 인터페론과 경구용 약제들을 병합하는 치료 방법 등이 치료 전략으로 선택될 수 있다. 초치료를 시작할 때 경구용 항바이러스제와 인터페론을 병합하는 방법으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는데, 이러한 시도들은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만으로는 충분히 기대하기 어려운 HBsAg 소실 등의 혈청 반응을 추가로 증가시키려는 시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