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대장내시경

문정역내과 송파베스트내과에서 공단위암검진 받으세요 네이버 지도 송파베스트내과의원 map.naver.com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XIII 치료 종료 및 종료 후 모니터 치료 종료의 임상적 지표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간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낮추고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궁극적인 치료 목적에 도달하였음을 확인한 후 치료 종료를 결정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치료의 종료를 고려하고자 한다면 치료 목적을 잘 반영할 수 있으면서 치료 중 측정이 용이한 대체 지표의 변화를 치료 목표로 삼아 종료 시점을 선택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임상에서는 ALT 정상화, 혈청 HBV DNA의 불검출, HBeAg의 혈청소실 및 전환, HBsAg 혈청소실 및 전환 등을 치료 목표로 이용하고 있다. 다만, 간경변증 환자에서는 치료 종료 후 재발 시 이로 인하여 심각한 간부전의 위험 부담이 있어 약제의 종료는 권고하지 않는다.​페그인터페론은 48주간 투여하는 것..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X 치료 약제 (1) 엔테카비어 2017년 국내에서는 테노포비어 알라페나마이드 푸마르산(tenofovir alafenamide fumarate, 이하 tenofovir AF 또는 테노포비어AF)과 베시포비어 디피복실 말레산(besifovir dipivoxil maleate, 이하 베시포비어)이 성인에서 만성 B형간염 치료제로 승인됨에 따라 총 8가지의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할 수 있다(Table 4). 새롭게 승인된 약제 중 테노포비어AF는 기존의 테노포비어DF와 같은 기전을 가진 약제이면서, 혈장에서 안정적인 농도로 유지되고, 간세포 내에서 효과적으로 대사되어 적은 용량으로도 유사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이며, 전신에 노출되는 양이 적어 신장과 뼈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 또한, 베시포비어는 아데포비어, 테노포비어DF와 유사한 경구용 항바이..
크론병과 장결핵 감별, Features that help distinguish between Crohn disease and intestinal tuberculosis Perianal disease가 동반되었다면 Crohn disease를 진단하는 데, 흉부 엑스레이에서 pulmonary TB 증거가 있다면 intestinal TB를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Crohn disease의 내시경 소견은 longitudinal ulcer, aphthous ulcer, cobblestoned mucosa, preservation of ileocecal valve, multiple skip lesions, anorectal lesions이며 intestinal TB의 내시경 소견은 transverse ulcers, hypertrophic mucosa, scars/fibrous bands/inflammatory polyps, gaping/destruction of ileo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