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궤양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화성궤양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원인「문정역내과」 소화성궤양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이 진단되면 모든 환자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Helicobactor pylori) 검사를 해야 합니다. 조직검사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증거가 있는 환자들은 제균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활동성 출혈이 있는 환자에서는 조직검사의 음성 결과가 완전히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배제시키지 못하므로, 이 음성 결과가 진짜인지 확인하기 위해 요소호기검사 또는 분변 항원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헬리코박터 음성은 위음성일 수 있으므로 요소호기검사 또는 분변항원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만일 위내시경 시에 조직검사를 하지 못했다면, 출혈이 없다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검사를 위해 요소호기검사 또는 분변항원검사를 시행합니다.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받았는데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소화성 궤양, 재발, H. pylori in peptic disease, ulcer recurrence prevention 소화성 궤양 치료 목표는 1. 증상 개선, 2. 궤양 치료, 3. 궤양 재발과 합병증 예방입니다. 소화성 궤양 환자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제균하면 재발을 줄을 수 있습니다. 궤양 재발은 위궤양 59%, 십이지장궤양 67%(제균하지 않은 경우) 대 < 10-20%(제균한 경우)입니다. 헬리코박터 제균이 궤양으로 인한 천공에 대한 효과는 불분명하지만 재발성 궤양 출혈은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REF. Harrison's 20th edition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관련 질환,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related disease Schematic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onization with Helicobacter pylori and diseases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Essentially all persons colonized with H. pylori develop a host response, which is generally termed chronic gastritis. The nature of the host’s interaction with the particular bacterial population determines the clinical outcome. H. pylori colonization increases the life.. 소화성 궤양에 따른 상부 위장관 출혈에서 수술이 필요한 경우 PUD에 따른 상부 위장관 출혈은 높은 이환율 및 의료 비용을 초래하는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입니다. 환자는 종종 hematemesis, melena 또는 두 가지 모두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대량 출혈에서에서는 hematochezia가 보일 수 있습니다. 출혈성 궤양의 진단은 대개 내시경 검사로 이루어집니다. 출혈성 궤양이 있는 대부분의 환자는 빠른 fluid resuscitation, blood transfusions, proton pump inhibitor (PPI) therapy, endoscopic intervention으로 적절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 조기 IV PPI 치료는 신속한 궤양 치료를 촉진하고 재출혈률을 감소시킵니다. 그러나 출혈성 궤양을 가진 소수의 환자에서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 프로톤 펌프 억제 경구제, Omeprazole, Lansoprazole, Pantoprazole, Rabeprazole (심사기준) ■ 고시 개정 전체내용 1.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투여 시 요양급여 함을 원칙으로 함. 2. 허가사항 범위를 초과하여 아래와 같은 경우에 항생제(Clarithromycin, Amoxicillin, Tetracycline) 및 항원충제(metronidazole)를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함. - 아 래 -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pylori) 감염이 확인된 다음의 환자에서 제균요법으로 투여하는 경우 - 다 음 - 가. 소화성궤양 나. 저등급 MALT(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림프종 다. 조기 위암 절제술 후 라.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idiopathic thrombopenic purpura) 3. 허가사항 범위를 초과하여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시 약값 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