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성알도스테론증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2년 고혈압 진료지침 [2. 고혈압의 임상평가] 제 II 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6. 혈압 측정 고혈압의 진단, 치료, 예후 평가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정확한 혈압 측정이다. 측정된 혈압은 측정 환경, 측정 기기, 측정 방법, 혈압 측정 조사원의 술기에 따라서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진료실혈압을 표준적인 방법으로 반복 측정하거나43)44), 활동혈압 측정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또는 가정혈압 측정(home blood pressure monitoring)과 같은 진료실 밖 혈압(out-of-office blood pressure) 측정을 부가적으로 시행하여 고혈압을 진단하고 분류한다45). 고혈압을 조기 발견하기 위한 선별검사 방법에 대한 근거는 부족하나46), 건강보험공단의 국가건강검진을 바탕으.. 2018 고혈압 진료지침 2. 고혈압의 임상평가 제 II 장. 고혈압의 임상평가 6. 혈압 측정 고혈압의 진단, 치료, 예후 평가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정확한 혈압 측정이다. 혈압은 측정 환경, 측정 부위, 임상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여러 번 측정해야 하며 표준적인 방법으로 측정해야 한다. 40세 이상, 비만, 고혈압 가족력, 고혈압전단계인 경우는 매년 진료실혈압을 측정하여 고혈압 발생여부를 점검하여야 한다. 6.1. 진료실혈압 측정 진료실에서 청진기를 사용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청진법이 현재 표준적인 측정 방법이다. 진료실혈압 측정에 사용하는 혈압계는 수은주혈압계, 보정된 아네로이드 혈압계, 정확성이 검증된 전자혈압계가 있다. 전자혈압계는 종류별로 청진법 또는 진동법 기기가 있으며 수은의 유해성 문제로 수은주혈압계는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