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루사

UDCA [Ursodeoxycholic acid (ursodiol)] UDCA의 우리나라 상품명은 우루사입니다. 간수치가 상승된 환자들이 많이 복용하고 있지만 이것의 주된 적응증은 담석증의 용해와 예방입니다. 우르소데옥시콜산 (ursodiol)은 담석의 표면과 중심에서 콜레스테롤을 가용화하여 (solubilizing ) 담석을 용해시킵니다. ​ 또한, ursodiol은 콜레스테롤의 장 흡수를 억제하고 감소시키며 담낭 배출 (gallbladder emptying)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한된 양의 칼슘염 (calcium salts)을 함유한 담석의 콜레스테롤 부위가 용해되면, 담석의 나머지가 모래로 분해되고 기능하는 담낭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출됩니다. ​ Ursodiol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담낭에 들어가기 위한 온전한 cystic duct 필요합니다. ..
L-아스파르트산-L-오르니틴수화물, 헤파멜즈(산, 주), L-ornithine-L-aspartate(LOLA), Hepa-merz(powder, injection) Hepatotonics 종류와 적응증(허가)1. 레가론(Legalon) : 독성 간질환, 만성 간염, 간경변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834892. 우루사(Urosodeocycholic acid, UDCA) : 담석증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94453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43616983. 펜넬(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 : 만성 간염 (급성 간염 부분은 2018년도 삭제)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85166644. 고덱스(Godex) : ALT가 상승된 간질환 https://blog.naver...
고덱스,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 등, Godex,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BDD) Hepatotonics 종류와 적응증(허가)1. 레가론(Legalon) : 독성 간질환, 만성 간염, 간경변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83489 2. 우루사(Urosodeocycholic acid, UDCA) : 담석증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94453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43616983. 펜넬(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 : 만성 간염 (급성 간염 부분은 2018년도 삭제)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85166644. 고덱스(Godex) : ALT가 상승된 간질환5. 헤파멜즈(Hepa-merz) ..
낭포성 섬유증과 일차성 담즙성 간경화증에서 우르소데옥시콜산(우루사), Urosodeocycholic acid(UDCA) in CF and PBC Hepatotonics 종류1. 레갈론(Legalon)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834892. 우루사(Urosodeocycholic acid, UDCA)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944533.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펜넬)4. 헤파멜즈(Hepa-merz)5. 고덱스(Godex) 이전 블로그 내용은 담석증에서 우루사(Urosodeocycholic acid)의 기전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944531. CF-related liver disease (CFLD)에서 UDCA에 대한 설명 중에서...UDCA(우루사, 우르소..
우르소데옥시콜산(우루사) 작용 기전 , Ursodeoxycholic acid(UDCA), mechanism of action Hepatotonics 종류1. 레갈론(Legalon)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834892. 우루사(Urosodeocycholic acid, UDACA)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834893.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펜넬)4. 헤파멜즈(Hepa-merz)5. 고덱스(Godex)이전 블로그1. Chenodeoxycholic acid와 ursodeoxycholic acid(UDCA) https://blog.naver.com/sjloveu2/2214837834892. 밀크티슬/실리마린/레가론, Milk thistle/silymarin/legalon https://blog.naver.c..
밀크티슬/실리마린/레가론, Milk thistle/silymarin/legalon Silymarin (silybum marianum)은 milk thistle의 천연 성분으로 실험적 간 손상에서 유망한 항섬유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만성 간질환 환자, 특히 HCV 환자의 비처방 약제로 널리 사용됩니다. 그것의 구조에 기초하여, silymarin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화합물의 그룹에 속하며, 이 그룹 중 다른 성분은 quercetin, baicalin, baicalein입니다. 이러한 플라보노이드는 항섬유화 특성 때문에 점점 더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Silymarin은 항산화제로서 작용하며 세포 보호 및 Kupffer 세포 기능의 억제를 통해 간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관련 화합물인 silibinin은 또한 배양된 stellate cells에서 항섬유 특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