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엠엠알

유행성이하선염 (볼거리) 증상과 진단 [문정동 검진, 송파베스트내과의원] 보통 이하선 부종과 압통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유행성이하선염 (볼거리) 진단을 위해 혈청 Mumps IgG와 Mumps IgM 검사를 시행합니다. ​ ​ 이하선염 (이하선의 부종), 고환/난소의 염증이 있으면서 유행성이하선염 환자와의 노출병력이 있는 경우에는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사람들은 유행성이하선염 (볼거리) 환자와의 접촉력을 모릅니다. ​ ​ 따라서 이하선염 (침샘 부종, 압통)으로 내원하는 경우 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 확진입니다. ​ 구강 점막 검체는 이하선염 발생 직후 가능한 빨리 얻어야 합니다. 얻기 전 이하선 마사지를 한 후 Stensen's duct 주변에서 검체를 얻습니다. ​ IgM 항체는 일부 경우 증상 발생 5일까지는 검출되지 않을 ..
홍역, 잠복기, measles, incubation period 대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홍역 잠복기는 6 일에서 21 일(중앙값 13 일)입니다. 호흡기 점막이나 결막을 통한 바이러스 침입 후 시작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국소적으로 복제되어 국소 림프 조직으로 퍼지고 혈류를 통해 다른 reticuloendothelial sites로 전파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전염 기간은 발진이 생기기 5 일 전부터 발진 발생 4 일 후로 추정됩니다. 비록 일부 환자들이 일시적인 호흡기 증상, 발열 또는 발진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감염된 사람은 잠복기 동안 특징적으로 무증상입니다. REF. UpToDate 2019.05.25 질병관리본부 제21주 주간 해외감염병 발생동향(05.24)
홍역에 대한 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접종위원회 의견 ​ [대한감염학회] 홍역에 대한 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접종위원회 의견​최근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홍역과 관련하여 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접종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합니다.1. 의료시설 종사자, 특히 홍역 환자의 진료에 참여하거나 홍역 환자에게 노출될 위험이 높은 의료시설 종사자에 대한 홍역백신 권고의료시설 종사자는 직업적인 특성상 홍역과 같이 전염력이 있는 환자에 노출될 위험이 높고 본인이 감염되는 경우 감수성이 있는 환자에게 전파시킬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실제로 홍역이 퇴치되거나 발생이 감소한 국가라고 하더라도 의료시설 내에서 홍역의 전파가 이루어진 사례가 종종 보고됩니다. 따라서 의료시설 종사자는 홍역에 대한 면역력이 있는지 명확하게 기록으로 확인이 되어야 합니다. 의료시설 종사자의 홍역 노출위험..
엠엠알 백신, 임신과 산후, MMR vaccine, pregnancy and postpartum considerations 1. 풍진(또는 MMR) 백신 접종 후 임신하기 전에 여성이 기다려야 할 기간은 얼마입니까? MMR package insert는 MMR 예방 접종 후 임신 3 개월 연기를 권고하지만 ACIP는 임신 연기 기간을 4 주 동안 권고합니다. 이 문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MWR 2001;50(No. 49):1117을 참조하십시오. 2. 우리는 임신 2 개월 된 여성에게 실수로 MMR 백신을 투여한 의료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전화를 받았습니다. 적절한 조치 단계에 대해 조언하십시오. 이 예방 접종의 결과로 유해한 결과가 기대되지 않는다는 것을 여성에게 확신시키는 것 이외에 특별한 조치를 취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지 임신 중 MMR 예방 접종을 한 것이 임신을 종결하는 이유는 아닙니다. 3. MMR을 받기 전에 ..
홍역에 걸릴 위험이 높은 성인 환자에서 엠엠알 백신 우리는 홍역에 걸릴 위험이 높은 성인 환자를 만나게 됩니다. MMR 백신 접종을 했는지 또는 홍역에 걸렸는지 기억하지 못하면서 대학에 진학하거나 국제 여행을 준비하는 환자들입니다. 이 환자들을 어떻게 관리해야합니까? 두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면역이 있는지 검사를 하거나 적어도 4 주 간격으로 MMR을 2 회 투여 할 수도 있습니다. MMR 백신을 하나 이상의 백신 바이러스에 면역 반응을 보이는 사람에게 투여하는 것은 아무런 해가 없습니다. 환자가 검사를 선택하고 환자가 하나 이상의 백신 구성 요소에 면역이 되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온 경우 적어도 4 주 간격으로 MMR을 2 회 접종합니다. 검사 결과가 불확실하거나(indeterminate) 모호한 경우(equivocal) 환자의 면역력이 없는 것으로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