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차의료기관에서의 비만 클리닉 진료 지침 〔J Korean Med Assoc 2024 April; 67(4):240-255〕 서론 비만의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상당하며, 현재 계속 상승 중이고, 이 현상은 한국에서도 마찬가지다[1]. 비만은 그 자체로도 질병이지만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2], 비만 유병률 상승은 비만 합병증의 유병률 상승으로 이어진다. 게다가 비만은 직접적인 의료 비용을 야기하는 것은 물론, 생산성 손실 및 질병 휴가 등 여러 간접적 사회 비용도 야기한다[3]. 따라서 이미 높아진 비만 유병률과 이의 지속적인 상승은 인구집단에 커다란 보건학적 및 경제적 부담을 지우게 된다. 비만의 높은 유병률과 보건학적 중요성을 고려할 때, 비만은 일차의료 영역에서 핵심 문제로 다루어져야만 하지만, 안타깝게도 많은 일차의료기관들은 비만치료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그 한 원인은, 비만은 간단한 병력 청취와 .. 비만과 좌심실 비대, Obesity and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비만(obesity)은 volume overload와 관련이 있고 결과적으로 높은 end-diastolic volume과 증가된 filling pressure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고혈압(hypertension)과 결부되어 좌심실 비대(left ventricular hypertrophy)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좌심실 비대(LVH)는 이것이 심부전(heart failure), 심실 부정맥(ventricular arrhythmia), 심근 경색 이후 사망(death following MI), sudden cardiac death 발생률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중요합니다.Obesity coupled with hypertension → Left ventricular hypertrophyREF. U.. 국민건강보험, 생활습관평가와 처방전 의사나 환자나 관심이 없고 실질적이지 않은 항목들이 너무 많습니다. 비만에서 수술 적응증, Bariatric operations for management of obesity Bariatric operations for management of obesity Candidates for a bariatric surgical procedure include ● Adults with a BMI ≥40 kg/m2 without comorbid illness ● Adults with a BMI 35.0 to 39.9 kg/m2 with at least one serious comorbidity,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ype 2 diabetes [47,48] •Obstructive sleep apnea (OSA) •Hypertension •Hyperlipidemia •Obesity-hypoventilation syndrome (OHS) •Pickwic..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