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거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유행성이하선염 (볼거리) 증상과 진단 [문정동 검진, 송파베스트내과의원] 보통 이하선 부종과 압통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유행성이하선염 (볼거리) 진단을 위해 혈청 Mumps IgG와 Mumps IgM 검사를 시행합니다. 이하선염 (이하선의 부종), 고환/난소의 염증이 있으면서 유행성이하선염 환자와의 노출병력이 있는 경우에는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사람들은 유행성이하선염 (볼거리) 환자와의 접촉력을 모릅니다. 따라서 이하선염 (침샘 부종, 압통)으로 내원하는 경우 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 확진입니다. 구강 점막 검체는 이하선염 발생 직후 가능한 빨리 얻어야 합니다. 얻기 전 이하선 마사지를 한 후 Stensen's duct 주변에서 검체를 얻습니다. IgM 항체는 일부 경우 증상 발생 5일까지는 검출되지 않을 .. 홍역, 잠복기, measles, incubation period 대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홍역 잠복기는 6 일에서 21 일(중앙값 13 일)입니다. 호흡기 점막이나 결막을 통한 바이러스 침입 후 시작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국소적으로 복제되어 국소 림프 조직으로 퍼지고 혈류를 통해 다른 reticuloendothelial sites로 전파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전염 기간은 발진이 생기기 5 일 전부터 발진 발생 4 일 후로 추정됩니다. 비록 일부 환자들이 일시적인 호흡기 증상, 발열 또는 발진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감염된 사람은 잠복기 동안 특징적으로 무증상입니다. REF. UpToDate 2019.05.25 질병관리본부 제21주 주간 해외감염병 발생동향(05.24) 홍역에 대한 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접종위원회 의견 [대한감염학회] 홍역에 대한 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접종위원회 의견최근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홍역과 관련하여 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접종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합니다.1. 의료시설 종사자, 특히 홍역 환자의 진료에 참여하거나 홍역 환자에게 노출될 위험이 높은 의료시설 종사자에 대한 홍역백신 권고의료시설 종사자는 직업적인 특성상 홍역과 같이 전염력이 있는 환자에 노출될 위험이 높고 본인이 감염되는 경우 감수성이 있는 환자에게 전파시킬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실제로 홍역이 퇴치되거나 발생이 감소한 국가라고 하더라도 의료시설 내에서 홍역의 전파가 이루어진 사례가 종종 보고됩니다. 따라서 의료시설 종사자는 홍역에 대한 면역력이 있는지 명확하게 기록으로 확인이 되어야 합니다. 의료시설 종사자의 홍역 노출위험..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의 노출 후 예방, Postexposure prophylaxis, measles, mumps, rubella 1. 홍역 홍역(measles)에 노출된 후 감수성이 있는 사람에 대한 postexposure prophylaxis는 금기가 없는 경우 72 시간 이내에 MMR 예방 접종을 하는 것입니다. 백신 접종은 홍역에 대해 오래 지속되는 면역을 제공하기 때문에 면역글로불린 투여보다 백신 투여가 바람직합니다. 면역글로블린은 노출 6 일 이내에 면역이 없는 사람에게 투여될 경우 홍역의 중증도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면역글로불린은 면역억제가 없는 상태인 나이 12 개월 이상에서 한 차례 홍역이 포함된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에게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면역글로불린의 투여는 다음과 같이 MMR 예방 접종에 대한 금기가 있고 홍역 합병증의 위험이 증가된 노출된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 면역의 증거가 없는 임산부 -.. 접종 기록이 없는 경우 MMR 예방접종력 증거 인정 MMR 백신 접종을 기억하고 있지만 기록이 없거나 부모가 환자에게 백신 접종을 했다고 주장하는 경우 예방 접종 기록으로 받아 들여야 합니까? 아닙니다. 부모 또는 보호자가 제공한 자체 보고된 예방 접종 기록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예방 접종 기록으로서 작성된 날짜 기록만 받아 들여야 합니다. 참고문헌: http://www.immunize.org/askexperts/experts_mmr.asp#contraindications 백신 도입 이후 홍역 케이스 Vaccines for prevention of measles, rubella, and mumps were licensed and recommended for use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60s and 1970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1-dose measles vaccination program, the number of reported measles cases decreased during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to approximately 22,000–75,000 cases per year (Figure 1) 1960-1970년대 백신 도입 이후 급감한 홍역 케이스입니다. 그럼에도 백신의 효과를 믿지 .. 홍역, 풍진, 유행성 이하선염에 대한 면역 증거 ACIP가 홍역, 풍진, 유행성 이하선염에 대한 면역 증거의 정의를 변경했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설명 해주십시오. 2013 년 MMR 백신 권장 사항에서 ACIP는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및 풍진에 대한 면역의 증거로서 검사실 확증을 포함합니다. ACIP는 홍역 및 유행성 이하선염에 대한 면역의 증거로서 의사의 진단을 삭제했습니다. 이전에는 풍진에 대한 면역의 증거로 의사의 질병 진단은 받아 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지난 30 년 동안 홍역 및 유행성 이하선염 사례가 감소함에 따라 의사가 진단한 질병의 타당성이 의심스러워졌습니다. 또한 의사 기록을 통해 병력을 입증하는 것은 대부분의 성인에게 현실적인 선택이 아닙니다. 2013 MMR ACIP 권장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REF. http://www.imm..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