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프테리아

파상풍 (테타누스), 디프테리아, 백일해를 포함한 백신들 [DTaP, DT, Tdap, Td]
임신 중 파상풍 주사의 적응증 [엠스테이트 내과] ​ 손자, 손녀가 태어난다고 파상풍 예방접종을 맞으러 내원하는 나이가 든 사람이 내원하는 경우도 있고, 일가족 중에 아이가 태어난다고 파상풍 예방접종을 맞으러 내원하는 젊은 사람도 있습니다. ​ 이 사람들의 목적은 tetanus를 예방함이 아니고 pertussis (백일해)를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 파상풍 예방접종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 손상을 입었을 때 예방접종 2. 손상을 입지 않았을 때 기본예방접종 3. 임신 중 예방접종 ​ 마찬가지입니다. 임신 중인 경우에도 Tdap (보통 파상풍 예방접종이라고 함)을 맞을 것을 ACIP는 권고합니다. ACIP는 각각의 임신마다 예방접종을 맞을 것을 권고하며 반복적인 Tap 접종을 권고하는 상황은 임신 시가 유일합니다. ​ Tdap 백신..
아다셀주, Adacel [Tdap]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아다셀주, Adacel [Tdap]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성인 예방접종 안내서 제2판 2018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파상풍, 항생제 선택, Tetanus, antimicrobial therapy Tetanus 치료에서 메트로니다졸(500 mg, IV, q 6-8 hrs)이 선호되는 항생제이지만 penicillin G(2-4 million units IV, q 4-6 hrs)도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안입니다. 모든 tetanus 환자들은 spores와 necrotic tissue를 제거하기 위한 wound debridement를 받아야 합니다. 비록 항생제가 tetanus 처치에서 minor 역할을 할지라도 보편적으로 권고됩니다. 그러나 적절한 wound debridement가 이행되지 않으면 항생제 치료가 실패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메트로니다졸(500 mg, IV, q 6-8 hrs)이 선호되는 항생제이지만 penicillin G(2-4 million units IV, q ..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의 외독소, Corynebacterium diphtheria, exotoxin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 병태생리, Corynebacterium diphtheria, pathophysiologyhttps://blog.naver.com/sjloveu2/221495032241 이전 블로그에서 디프테리아 외독소는 세포 내부에서 작용하여 elongation factor 2를 비활성화(inactivating)시킴으로써 단백질 합성을 차단하여 세포 사멸을 유발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이것은 세균의 toxin이 진핵생물(사람)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것이고(anti-human antibiotic인 것 같이) 이와 대조적인 비유로 anti-ribosomal antibiotics(tetracycline....)은 원핵생물(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합니다. [알기쉽게 이해하는 임상미생물학/대한의학..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 진단, 배양, Corynebacterium diphtheria, diagnosis, culture 디프테리아 진단은 적절한 역학적 위험 인자와 함께 관련 임상적 증상(인후통, 권태감, 경부 임파선 병증 및 low grade fever) 상화에서 고려도어야 합니다. 경한 인두 홍반은 전형적으로 백색 삼출물로 진행됩니다. 이들은 합쳐져 adherent gary pseudomembrane을 형성하며 이것은 긁으면 피가납니다. 인두, 구개 또는 비강 점막의 membrane과 전신 독성, 쉰 목소리, 쉰 목소리, stridor, 구개 마비 및/또는 serosanguineous 비강 분비물이 있으면 디프테리아에 대한 임상적 의심은 더 높아야 합니다.​디프테리아의 확실한 진단을 위해서는 호흡기 분비물 또는 피부 병변에서 C. diphtheriae의 배양과 positive toxin assay를 필요합니다. 일상적..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 추적검사, 접촉예방, 예후, Corynebacterium diphtheria, follow-up, contact prophylaxis, prognosis 추적 검사Follow-up culturessms 감염 후 24 ~ 48 시간 및 2 주 후에 제거를 증명하기 위해 이행되어야 합니다. 적어도 24 시간 간격으로 두 번 연속 배양이 음성이 될 때까지 격리를 계속해야 합니다. 자연 감염은 면역을 유도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는 회복기에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예방 접종을 받아야 합니다.​​접종 예방 긴밀한 접촉자는 케이스 환자의 구강 또는 호흡기 분비물에 노출된 의료인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 및 케이스 환자와 직접적으로 접촉한 병력이 있는 다른 사람들(예 : 간병인, 친척, 또는 정기적으로 집을 방문하는 친구)입니다. 긴밀한 접촉자는 확인 후 배양을 할 필요가 있고 항생제 예방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현재 면역 상태가 아닌 경우라면,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면역을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