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브스병 썸네일형 리스트형 임신 중 갑상선기능항진증, 임신 전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 병력이 있을 때 현재 euthyroid state이지만 이전에 그레이브스병이 있었고 thionamide로 치료 받은 병력이 있을 때 이 사람이 임신하거나 출산 후 상태가 되면 재발 위험이 약간 증가합니다. 이와 같은 여자에서 TSH, FT4 또는 total T4를 임신 초기에 측정하고 갑상선 기능항진증 증상이 있다면 재측정하며 또는 출산 후 재측정합니다. Radioiodine 또는 수술로 확실한 치료를 한 이후 갑상선 호르몬을 복용 중인 euthyroid 여자으 ㅣ경우 TRAb의 태반 통과로 인해 태아 감상선기능항진증 위험이 약간 증가합니다. TRAb는 임신 1분기에 측정하고 만일 상승되어 있다면 18-22주 사이에 재측정합니다. Thionamide 복용을 중단하고 remission 상태인 여자에서 TRAb 측정은 필요.. 임신 중 갑상선기능항진증, 항갑상선 약제 초기 용량 태아 갑상선 기능저하증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갑상선 기능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가장 낮은 용량의 thionamide를 투약합니다. ※ PTU : 50 mg 하루 2-3회 메티마졸 : 5- 10 mg , 하루 1회 카비마졸 : 5-15 mg, 하루 1회 그러나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아주 심한 경우에 PTU 100 mg, 하루 3회 또는 메티마졸 10-30 mg, 하루 1회 투약이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를 위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PTU에서 메티마졸로 변환이 필요할 때 가장 근접한 용량 계산이 필요하며 PTU와 메티마졸 약 효능의 강도 비율이 불명확하지만 임상적 경험으로 볼 때 밀리그람 대 밀리그람으로 계산하면 메티마졸은 PTU보다 20-30배 더 강합니다. 따라서 300 mg PTU는 대략 10 또는 15.. 갑상선기능항진증에서 안구돌출 → 그레이브스병 송파베스트내과의원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있으면서 exophthalmos가 있는 경우 → Graves' disease Exophthalmos, periorbital and conjunctival edema, limitation of eye movement, and infiltrative dermopathy (pretibial myxedema)는 Graves' disease 환자에서만 생깁니다. 중등도~중증의 시력을 위협하는 orbitopathy 환자에서 thionamides 또는 surgery가 선호되는 치료 선택이며 수술을 원하지 않거나 thionamides 금기인 경우에는 스테로이드+radioiodine therapy를 시행합니다. REF. UpToDate 2021.01.31 그레이브스병, 병리, Graves' disease (pathogenesis) blog.naver.com/sjloveu2/222185081655 그레이브스병, 병리, Graves' disease (pathogenesis) 그레이브스병 (Graves' disease)은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종 (goiter), 갑상선 눈질환 (Graves... blog.naver.com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