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내과/이상지질혈증

Fish oil의 cardiovascular outcomes ① total mortality

728x90
반응형

2018.11월 cardiovascular events의 primary prevention에 대한 fish oil 연구가 발표되었습니다.

20190113_235642.jpg 

알려진 심혈관 질환이 없는 25871명의 남자, 여자를 대상으로 한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VITAL)이며 평균 5.3년 추적 관찰 후 하루 1 g의 low-dose n-3 PUFA는 심장 질환과 뇌졸중을 포함한 주요 심혈관 사건들(primary endpoint)을 줄이지 못하였습니다(hazard ratio [HR] 0.92, 95% CI 0.80-1.06). 


Fish oil의 심혈관 질환 예방, 관상동맥질환 예방, 사망에 대한 효과는 있는 것인지

1차 예방은 효과가 있는 것인지

그리고 효과가 있다면 그 근거가 되는 연구는 있는 것인지 찾아 보았습니다.

다음 uptodate category처럼 CHD, CVD, mortality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겠습니다.






먼저 total mortality에 대한 내용입니다.

RCT의 메타분석에서, n-3 PUFA 소비는 총 사망률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R 0.83, 95 % CI 0.68-1.00). 이후의 무작위 임상 시험에 대한 메타분석에서도 마찬가지로 n-3 PUFA 소비로 총 사망률의 유의한 감소 또는 강한 경향을 보였습니다. 2012 년의 fish oil 보충제의 17개 무작위 시험(n=63,279)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총 사망률 감소(RR 0.96, CI 0.91-1.02)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추세를 보였습니다.


n-3 PUFA 섭취가 다른 사망 원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CHD 사망을 감소시키는 것이라면 총 사망률에 대한 이러한 영향의 크기는 예상되는 이점과 일치합니다. 다시 말하면, 주어진 인구에서 총 사망률의 감소 정도는 해당 집단의 CHD/sudden cardiac death로 인한 모든 사망자의 비율의 약 1/3로 감소한 것과 같습니다. 메타분석에서의 대부분의 임상 시험은 알려진 CHD 또는 CHD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 이행되었으며, 전체 사망의 약 절반이 CHD 또는 SCD에 기인하였습니다. 따라서 총 사망에 대한 n-3 PUFA 소비의 비율적으로 더 적은 효과는 CHD에 기인하는 총 사망의 비율이 낮은 집단(예를 들어 중년 성인의 일반 인구: 사망의 약 1/4이 CHD로 인한 것임)에서 기대되어집니다.

이와 일치하여 16 년간의 추적 조사를 받은 미국 4 개 counties의 2692 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코호트 연구에서 baseline에서 측정한 총 n-3 PUFA 수치와 사망률 사이의 연관성이 발견되었습니다(최고 및 최저 quintiles을 비교 한 HR 0.73, 95 % CI 0.61-0.86). 이는 주로 n-3 PUFA 수치가 높고, DHA 수치가 높은 사람에서 심혈관 사망률이 더 낮기 때문이며 특히 부정맥 사망률이 낮은 것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REF. UpToDate 2019.01.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