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하나가 백혈병을 일으킨다? CML의 발병 원리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Chronic Myeloid Leukemia〕은 한 가지 유전자 이상으로 발생하는 드문 형태의 혈액암입니다. 바로 '필라델피아 염색체〔Philadelphia chromosome〕'가 그 주인공입니다.
9번과 22번 염색체가 비정상적으로 전위〔translocation〕되면서 BCR::ABL1 융합 유전자〔fusion gene〕가 생성되고, 이로 인해 비정상적인 티로신 키나제〔tyrosine kinase〕 활성이 유발됩니다. 결과적으로 백혈구 세포의 무제한 증식이 시작되며, 이것이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출발점이 됩니다.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방치하면 급격히 악화되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 개입이 필수적입니다.
세 단계로 구분되는 CML 진행 양상
CML은 질병 진행 정도에 따라 다음 세 가지 단계로 나뉩니다:
- 만성기〔CP: Chronic Phase〕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이 시기에 진단되며, 모세포〔blast〕 비율이 10% 미만입니다. 무증상이거나 가벼운 증상만 나타나 치료 반응도 좋습니다. - 가속기〔AP: Accelerated Phase〕
모세포 비율이 10~19%로 증가하면서 질병이 빠르게 악화됩니다. 피로, 감염, 출혈 증상이 심화되며, 치료 전략을 변경해야 할 수 있습니다. - 모세포 위기〔BP: Blastic Phase〕
가장 치명적인 단계로, 모세포 비율이 20~30% 이상을 차지합니다. 급성 백혈병〔acute leukemia〕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며, 신속한 고강도 치료나 이식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단계 구분은 환자 맞춤형 치료를 계획하는 데 핵심적인 기준이 됩니다.
CML 치료의 핵심,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TKI)
CML 치료는 현재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TKI: Tyrosine Kinase Inhibitor〕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세대별로 다양한 약물이 존재합니다.
- 1세대 TKI: 이마티닙〔Imatinib〕
최초의 TKI로, CML 치료에 혁명을 일으켰습니다. 많은 환자들이 장기간 생존이 가능해졌습니다. - 2세대 TKI: 다사티닙〔Dasatinib〕, 닐로티닛〔Nilotinib〕, 보수티닙〔Bosutinib〕
1세대보다 빠른 반응과 심층 분자 반응을 유도합니다. 특히 치료-비의존성 관해〔TFR〕를 목표로 하는 환자에서 선호됩니다. - 특수 상황용 TKI: 포나티닙〔Ponatinib〕, 아시미닙〔Asciminib〕
BCR::ABL1 T315I 변이 등 고위험 유전자 이상을 가진 환자에서 사용합니다.
환자의 위험도 평가, 유전자 변이 여부, 동반 질환에 따라 최적의 TKI가 선택됩니다.
조혈모세포 이식(AHCT)과 치료 목표
TKI 치료가 실패하거나, CML이 진행된 경우에는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AHCT〕**을 고려해야 합니다.
HLA 유전자형이 일치하는 공여자를 찾고, 이식 이후에는 GVHD〔이식편대숙주병〕 같은 합병증을 면밀히 관리해야 합니다.
CML 치료의 최종 목표는 단순 생존이 아니라 다음과 같습니다:
- 완전한 혈액학적 반응(CHR)
- 완전한 세포유전학적 반응(CCyR)
- 주요 분자 반응(MMR)
- 심층 분자 반응(DMR)
특히 BCR::ABL1 비율을 0.01% 이하로 유지하면, 치료를 중단하고도 재발 없이 지낼 수 있는 **치료-비의존성 관해(TFR)**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환자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
요약: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가 핵심
CML은 이제 더 이상 두려운 암이 아닙니다. 조기 발견과 적절한 TKI 치료를 통해 장기 생존은 물론, 완전한 치료-비의존성 관해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이상한 피로, 체중 감소, 복부 팽만감을 느낀다면 검사를 고려해보세요.
- TKI 치료 초기 3개월이 매우 중요합니다. 목표 반응에 도달하지 못하면 신속한 약물 교체가 필요합니다.
- 치료 목표를 분명히 설정하고, 정기적인 PCR 모니터링으로 꾸준히 관리하세요.
빠른 치료 시작이 긴 생존으로 이어집니다.
'혈액내과 > 조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림프구성백혈병, 치료제 (BTK inhibitors, BCL2 inhibitors) (0) | 2022.07.17 |
---|---|
철결핍, 사탕무우뇨, Iron deficinecy, beeturia (0) | 2022.05.27 |
철결핍/철결핍성빈혈, 이식증과 빙섭취증 (Iron deficicency anemia, Pica and pagophagia) (0) | 2022.05.27 |
철결핍성빈혈, 신체 수행 능력과 피곤 (0) | 2022.05.25 |
청소년에서 철분에 대한 권장 식이 허용량과 흡수 철 요구량, 철 결핍 단계 (0) | 2022.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