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염내과/수두바이러스

대상포진 예방접종, Varicella-zoster virus (VZV)-specific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을 boosting하는 것

728x90
반응형

Varicella-zoster virus (VZV)-specific 세포 매개 면역 반응VZV latency를 제어하고 재활성화 잠재성을 제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세포 매개 면역의 감소는 높은 비율의 대상포진을 경험하는 노인과 lymphoproliferative malignancies 환자에서 입증되었습니다. 이러한 역학적 관찰은 바이러스 활성화에 더 민감한 고령 환자에서 감소된 VZV-specific T cell frequency를 보여주는 in vitro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됩니다.

면역과 재활성화 위험

VZV-specific cell-mediated immunity의 감소는 VZV 재활성화의 주요 요인으로 간주됩니다. 55세 이상 인구의 약 30~40%는 일부 분석 방법에 의해 검출 가능한 VZV-specific T-cell responses가 없습니다[4].

대상포진이 발병한 사람들 중 in vitro data에 따르면 발진이 시작될 때 robust VZV cell-mediated immunity가 질병의 중증도 감소 및 대상포진 후 신경통 위험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적절한 VZV-specific cellular immune responses가 부족한 면역 기능이 저하된 사람은 재활성화와 disseminated disease의 지속적인 발병의 높은 위험과 관련 있습니다.

여러 관찰에 따르면 체액성 면역보다는 세포 매개 면역의 감소가 reactivated VZV syndromes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포매개면역과 체액면역반응이 모두 제거되는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에서는 항체가 정맥내 감마글로불린 (VZV항체 함유)으로 대체되더라도 대상포진 발병률이 매우 높습니다. 또한, 저감마글로불린혈증이 있는 소아는 아주 오래되거나 전격성 원발성 수두 감염이나 대상포진 발병률 증가를 경험하지 않습니다.

VZV에 대한 T-cell-specific immunity를 boosting 하는 것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은 주기적인 subclinical viracella-zoster virus (VZV) 재활성화 (endogenous boosting)로 개선되어 바이러스 복제를 제한하고 대상포진 발병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T 세포 반응의 environmental boosting은 가정에서 primary varicella가 있는 소아에게 노출된 VZV-immune healthy adults 사이에서 입증되었으며, 이는 또한 대상 포진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VZV-specific T-cell immune responses의 boost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질병을 예방하거나 약화시키는 백신의 효능에 기여합니다.

■ 정리

1. Varicella-zoster virus (VZV)-specific 세포 매개 면역 반응VZV latency를 제어하고 재활성화 잠재성을 제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러 관찰에 따르면 체액성 면역보다는 세포 매개 면역의 감소가 reactivated VZV syndromes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2.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은 주기적인 subclinical viracella-zoster virus (VZV) 재활성화 (endogenous boosting)로 개선되어 바이러스 복제를 제한하고 대상포진 발병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3. T 세포 반응의 environmental boosting은 가정에서 primary varicella가 있는 소아에게 노출된 VZV-immune healthy adults 사이에서 입증되었으며, 이는 또한 대상 포진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4.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VZV-specific T-cell immune responses의 boost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질병을 예방하거나 약화시키는 백신의 효능에 기여합니다.

REF. UpToDate 2022.06.19

제26회 서울시내과의사회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2022.06.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