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혈액내과/조혈

백혈구 (중성구) 증가증, Leukocytosis (neutrophilia)

728x90
반응형

백혈구 (중성구) 증가증을 일으키는 여러 요인들 중에 약제에 관한 내용입니다. 중성구 증가증을 일으키는 약도 있습니다. 항상 염증, 감염이 원인인 것은 아닙니다.

1. BM myelopoiesis 자극과 순환계로 빠져 나가는 백혈구 (호중구) 증가 : 예 - myeloid growth factors, ATRA (all-trans retinoic acid: ATRA)

2. 혈관계 내부 neutrophil demargination : 예 - 카테콜라민

3.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 예 - 많은 약제들

4. 골수로부터 granulocytes의 분비 : 예 - 글루코코르티코이드, plerixafor

Classification of neutrophilia

Spurious

Platelet clumping

Mixed cryoglobulinemia

Primary (no other evident associated disease)

Myeloproliferative disorders (eg, CML, PV, ET)

Hereditary neutrophilia

Chronic idiopathic neutrophilia

Familial myeloproliferative disease

Congenital anomalies and leukemoid reaction

Down syndrome

Leukocyte adhesion factor deficiency

Familial cold urticaria and leukocytosis

Secondary

Infection

Stress (physical or emotional stress, vigorous exercise)

Cigarette smoking

Drugs

Glucocorticoids

Recombinant G-CSF or GM-CSF*

Catecholamines (epinephrine)

Lithium

All-trans retinoic acid

Isolated case reports for occasional other drugs

Nonhematologic malignancy

Heatstroke

Generalized bone marrow stimulation (as in hemolysis)

Asplenia and hyposplenism

Most commonly encountered causes of neutrophilia are shown in bold.

CML: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PV: polycythemia vera; ET: essential thrombocythemia; G-CSF: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 These agents are used therapeutically to raise the neutrophil count.

가장 일반적으로 호중구 증가증과 관련된 약물은 카테콜라민, 글루코코르티코이드, myeloid growth factors, plerixafor, lithium, ATRA입니다.

호중구 증가증 시작과 약물 투여 사이의 관련성을 결정하는 것은 원인 약제에 대한 중요한 임상적 단서를 제공합니다. 약물을 뺐을 때 호중구증가증이 없어지는 것은 약물이 원인임을 나타내는 가장 설득력 있는 증거입니다.

PBS에서 진단적 이상 소견은 없으나 알레르기 유형의 약물 반응인 경우는 종종 약간의 호산구 증가증을 동반합니다.

호중구 증가증은 약물 투약 수 시간 이내에 시작할 수도 있으나 (demargination 또는 accelerated bone marrow release) 며칠에서 몇 주가 (allergic reactions, increased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될 수도 있습니다.

REF. UpToDate 2021.04.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