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blog.naver.com/sjloveu2/222166327805
협심증 (안정형) 치료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항협심증 약물에는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베타차단제
(2) 칼슘통로차단제
(3) 나이트레이드
(4) Ranolazine은 새롭게 추가된 약물입니다.
이 약물들의 조합으로 협심증 치료를 하며 꼭 흉통이 아니더라도 운동성 호흡곤란에서도 그것이 협심증 관련 증상이라면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협심증 증상을 줄이고 운동 능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초기 치료 약제로 베타차단제를 권고합니다.
베타차단제는 Prinzmatal (variant) angina 환자에서는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이 환자에서 베타차단제는 효과가 없고 억제되지 않은 알파수용체 활성으로 인한 관상동맥 수축을 유발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베차차단제가 협심증 증상을 줄이는 것은 심박수를 줄이고 수축력을 줄여서 나타내는 효과입니다. 베타차단제는 운동 동안 심박수-혈압을 낮추기 때문에 운동 동안 허혈성 역치 또는 협심증 발생이 지연되거나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모든 유형의 베타차단제가 운동성 협심증에 동등하게 효과가 있는 것 같습니다.
게다가, 베타차단제는 재경색을 막고 지속적인 심근경색이 있었던 환자에서 생존률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입증된 유일한 항협심증 약물입니다.
REF. UpToDate 2021.02.01
송파베스트내과의원·종합건강검진센터
내과진료·5대암검진, 위·대장내시경·초음파
문정역 4번 출구 SKV1 GL메트로시티 2층
C동 208~210 (우리은행 옆)
728x90
반응형
'심장내과 > 협심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혈성 심장질환에서 사용되는 나이트레이트 (nitrates) 종류 (0) | 2021.04.11 |
---|---|
[문정역 내과] 협심증, 신체진찰 (0) | 2021.02.04 |
Chronic coronary syndrome [stable ischemic heart disease] : Medications (0) | 2020.12.08 |
Identifying pts for angiography and revascularization in chronic coronary syndrome (CCS) (0) | 2020.12.06 |
협심증 증상 특징, Angina pectoris, clinical features (0) | 202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