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장내과/고혈압

임신 중 고혈압 치료 결정, Decision to treat hypertension during pregnancy

728x90
반응형


Nonpregnant  : 2017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ACC/AHA)
   normal : Systolic <120 mmHg and diastolic <80 mmHg
   elevated blood pressure  Systolic 120 to 129 mmHg and diastolic <80 mmHg
   stage 1 hypertension : Systolic 130 to 139 mmHg or diastolic 80 to 89 mmHg
   stage 2 hypertension : Systolic at least 140 mmHg or diastolic at least 90 mmHg


Pregnant women 
   normal (<140/90 mmHg)
   mild to moderate hypertension (140 to 159/90 to 109 mmHg)
   severe hypertension (≥160/110 mmHg)



In contrast to nonpregnant individuals in whom blood pressure is staged as normal, prehypertension, or stage 1 or 2, blood pressure in pregnant women is either normal (<140/90 mmHg), mild to moderate hypertension (140 to 159/90 to 109 mmHg), or severe hypertension (≥160/110 mmHg).


Treatment of severe hypertension has a well-established maternal benefit of reduction in stroke risk, but there is no proven maternal or fetal benefit from treatment of mild to moderate hypertension over the relatively short duration of a full-term pregnancy. In addition, lowering maternal blood pressure excessively may be associated with decreased placental perfusion, and exposure of the fetus to potentially harmful effects of medications.



임신 중 고혈압을 치료하기로 결정할 때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과 이점을 고려해야합니다. 혈압 수준이 가장 중요합니다. 심한 고혈압(수축기 혈압 ≥160 mmHg 및 / 또는 이완기 혈압 ≥110 mmHg로 정의됨)은 모성 뇌졸중 및 기타 심각한 모체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항상 권고됩니다.

치료의 이득과 잠재적 위험이 불분명하므로 중등도 고혈압(수축기 혈압 150 ~ 159 mmHg, 이완기 혈압 100 ~ 109 mmHg로 정의됨)과 경증 고혈압(수축기 혈압 140 ~ 150 mmHg, 이완기 혈압 90 ~ 100 mmHg로 정의됨)을 치료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 환자의  comorbidities와 증상(두통, 시각 장애)을 고려하여 신중한 접근법을 취합니다. 주요 관심사는 혈압의 적극적 감소 또는 약물 자체가 태아 성장을 억제하고 태아를 이 약물의 잠재적으로 해로운 영향에 노출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경증에서 중등도의 고혈압 (만성 또는 임신 관련)을 가진 임산부의 치료에 대한 무작위 임상 시험의 메타 분석과 임신부를 무작위로 배정한(이완기 혈압 85 또는 100 mmHg을 목표) 2015 CHIPS trial (Control of Hypertension in Pregnancy Study)에서  모성 치료는 재태 연령이 작은 유아의 출산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거나 과도한 태아 위험을 초래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모체 혈압이 태아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평가한 2002 meta-regression analysis과 대조적이었습니다. 2002 meta-regression analysis 분석에서는 항고혈압 치료로 인한 평균 동맥압의 감소가 태아 성장을 현저히 약화되었다고 결론 내렸습니다(10mmHg 평균 동맥압 감소는 출생 체중의 176 g 감소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메타 분석과 CHIPS trial 모두 혈압을 낮추는 것이 임신 중 심한 모체 고혈압 발생의 감소와 관련이 있었지만 자간전증이나 모체 뇌졸중의 발생은 적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모든 trials은 뇌졸중의 차이를 발견하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REF. UpToDate 2018.04.0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