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급성 췌장염에서 수액 요구량은 입원 첫 6시간 동안과 24-48 시간 동안에 빈번하게 평가됩니다. 수액 공급 속도는 임상 평가, 헤마토크릿, BUN 값에 근거하여 조정됩니다. 적절한 수액 공급은 생체 징후(심박수 120회 미만, MAP 65- 85 mmHg), 소변량(>0.5 to 1 cc/kg/hour) 개선과 24시간에 걸쳐 헤마토크릿(목표 35-44%), BUN 감소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특히 내원 당시 높은 수치였다면). BUN의 추적 검사는 특이 중요한데, 내원 당시 BUN 값과 입원 첫 24시간 동안의 BUN 변화 둘 다로 사망률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BUN 수치가 변화 없이 그대로이거나 증가한 환자에서는 증가된 수액 공급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낮은 소변량은 지속적인 체액 결핍보다는 acute tubular necrosis 발생 가능성을 반영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경우 적극적인 수액 공급은 소변량 증가 없이 말초 부종, 폐부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REF. UpToDate 2019.07.10
728x90
반응형
'소화기(췌장) > 췌장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crotizing pancreatitis, infected necrosis, management (0) | 2020.05.02 |
---|---|
급성췌장염의 원인, Etiology of acute pancreatitis (0) | 2019.12.07 |
급성 췌장염에서 수액은 적극적으로 주입해야 합니다. (0) | 2019.07.10 |
만성 췌장염에서 췌장 효소제 복용 방법 (0) | 2019.07.08 |
만성 췌장염에서 통증 감소를 위한 췌장 효소 공급 (0) | 2019.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