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umor

뇌종양 증상과 징후, Brain tumor, manifestations blog.naver.com/sjloveu2/222178810560 뇌종양 증상과 징후, Brain tumor, manifestations ​뇌종양 환자들은 전신 증상/징후 또는 국소 증상/징후로 내원하기도 하고 무증상이기도 합니다.​Neurol... blog.naver.com
Neuroendocrine neoplasms의 grading 평가 (mitotic activity, Ki-67 labeling index) 세계보건기구(WHO)의 위장췌장 신경내분비종양(gastroenteropancreatic (GEP) neuroendocrine neoplasms (NENs)) 분류는 저등급, 중등급, 고등급 종양을 구분하기 위해 증식률 (proliferative rate)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습니다. Proliferative rate는 mitotic counts 또는 Ki-67 labeling index를 이용하여 평가합니다. Mitotic count에 의존하는 모든 등급체계에서, low grade와 intermediate grade 사이의 구별은 미묘하고 HPF 당 단지 1개의 nitotic figure에 달려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mitoses를 정확하게 세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It is recomme..
암 표지인자, Tumor marker 이전 블로그 1. 알파피토프로테인, Serum alpha-fetoprotein(AFP) https://blog.naver.com/sjloveu2/220986306217 ​ 2. 대장암 진단을 위한 CEA 검사 https://blog.naver.com/sjloveu2/221091931916 ​ 혈액검사에서 AFP, CA-19-9, CEA가 높아서 추가 검사를 시행하거나 복부 CT를 위해 상급 병원을 전원한 경우가 있습니다. 추가 검사(복부 CT)에서는 모두 정상이었습니다. 수치가 올라간 것을 알게 된 이상 f/u 검사나 영상 검사를 안할 수도 없을 것 같습니다. 불안감만 조장하는 것 같고……. ​ 기저 질환이 없는 20대 젊은 남자가 암표지인자 검사를 위해 내원한 적이 있어 적어 봅니다. ​ B형 간염, ..
베돌리주맙(Vedolizumab) 주사제(품명: 킨텔레스주) 고시 2018.12.1 ■ 고시 개정 전체내용1.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 아 래 -가. 궤양성 대장염1) 투여대상1종 이상의 종양괴사인자 알파(Tumor Necrosis Factor-α) 억제제 치료에 반응을 나타내지 않거나, 반응이 없어지거나, 또는 내약성이 없는 중등도-중증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 ※ 중등도-중증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 아래의 점수를 합산하여 중등도-중증 궤양성 대장염 여부를 판정(Mayo score 6 to 12 and Endoscopy subscore ≥ 2) ※ 궤양성대장염 활동평가를 위한 메이요 점수시스템(Mayo Scoring System for Assessment of Ulcerative C..
Nonfunctioning pituitary adenomas에서 mass effect에 의한 프로락틴 상승 Gonadotroph and other clinically nonfunctioning pituitary adenomas에서 프로락틴 상승 - Mass effect에 의한 프로락틴 상승 Macroadenomas는 종종 pituitary stalk을 누르고 프로락틴 생산 세포에 대한 정상적인 inhibitory hypothalamic influence를 차단하여 혈장 프로락틴 농도를 적당하게 상승시킵니다(일반적으로 100 ng / mL 미만이지만 때로는 200 ng / mL까지 높기도). Nonfunctioning macroadenomas가 있는 226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혈청 프로락틴 농도 > 94 ng / mL는 lactotroph adenomas와 nonfunctioning adenom..
Tumor classification에서 'y' symbol Preoperative adjuvant therapy의 사용은 많은 종양에서 점점 더 빈번해지고 있습니다. 화학 요법과 방사선 요법 모두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 질환의 해부학적 범위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preoperative therapy 후 pathologic classification 는 치료 전 질환의 실제 해부학적 범위를 반영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 등록과 역학 목적으로만 clinical classification를 기록해야 합니다. Preoperative therapy 후에 clinical 또는 pathologic classification이 결정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TNM classification of the International Union Against Ca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