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ubclinical

2023 대한갑상선학회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 진료 권고안 서 론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은 혈중 갑상선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은 높지만 혈중 유리 타이록신(free T4)이 정상인 경우로 정의된다.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은 건강검진 등에서 우연히 진단되는 경우가 흔한데, 아직까지 이들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추적관리에 대한 국내 진료지침이 제시된 바 없다.​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한 국외 진료지침은 대부분 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에 초점을 맞추어 작성되었고,1-3)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에 관한 단독 진료지침으로 2013년 유럽갑상선학회의 진료지침이 발표되었다.4) 이후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이 심혈관질환과 사망, 비만, 대사질환 및 인지 기능 등에 미치는 영향, 연령별 임상적 경과의 차이점, 레보타이록신(levothyroxine, ..
쿠싱증후군 치료, 한 쪽 부신이 원인인 경우 ​ 쿠싱증후군으로 원인으로서 한 쪽 부신에 종양이 있는 환자가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쿠싱 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들로는 여러가지가 있고 그 중에 부신이 원인인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환자에서 부신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부신 종양이 있는 경우에는 unilateral adrenalectomy로 제거해야 하며 blilateral micronodular와 대부분의 macronodular adrenal hyperplasia 환자에서 bilateral adrenalectomy를 시행합니다. ​ ​ 부신 종양은 항상 unilateral adrenalectomy로 완치됩니다. ​ Open laparotomy와 비교하여 수술 후 morbidity, 입원 기간, 비용 때문에 경험이 많은 의사에 의한 l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