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plasia 썸네일형 리스트형 간의 국소 결절성 과증식 (focal nodular hyperplasia, FNH)의 처치, E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국소 결절성 과증식 (focal nodular hyperplasia, FNH)인 경우 수술을 지지하거나 반박할 증거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없으면서 합병증이 드문 것을 고려할 때 보존적 접근이 권고됩니다. FNH와 증상과의 관련성은 빈약합니다. 그러므로 증상이 있다 할지라도 치료가 거의 필요하지 않습니다. 치료는 예외적인 경우에만 (pedunculated, expanding, exophytic) 시행하며 절제가 TOC입니다. 비수술적 치료는 수술이 적합하지 않은 환자에서 적용되어야 합니다. 진단이 확실하고 무증상인 경우 추적 영상 검사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경구피임약을 중단할 적응증은 없으며 임신 중 추적 검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FNH에 대한 진단이 영상 검사로 확실하지 않거나 증상이.. [Endocrinology] 선천성 부신증식증 [부신과형성],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 nonclassic 21-OHD Thomas Addison이 Addison’s disease를 기술했을 때 (1855년)에는 결핵에 의한 bilateral adrenal destruction이 가장 흔한 원인이었습니다. 이제 결핵은 모든 케이스의 7-20 %에 지나지 않고 70-90%는 자가면역이며 나머지가 다른 감염 원인, 암, 림프종, 부신 출혈 또는 경색, 약물들입니다. The story of ‘Addison’s disease’ begins with the adrenal glands, first described by Eustachius in 1714. Addison first wrote a short article in the London Medical Gazette (1849): ‘Anaemia—disease of the su..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