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VDNA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V 진단 및 초기 평가 만성 B형간염은 HBV의 감염으로 인하여 혈청 HBsAg이 6개월 이상 양성인 경우로 정의한다. 대상 환자에서는 면밀한 병력 청취와 신체검사가 필요하며, 음주력, 약물 복용력, HBV 감염과 간세포암종의 가족력을 확인하고 hepatitis A virus (HAV), HCV 등과 같은 다른 바이러스의 동반감염을 배제해야 한다.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경우 HDV와 HIV 동반 감염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비만, 당뇨, 대사증후군 등의 동반질환이 있는지 평가하여 HBV 감염과 간질환 사이의 인과관계를 확실하게 판단해야 하며 정기적인 장기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만성 B형간염 환자에게서 HBV의 증식 정도 및 지속적인 간손상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혈청, 바이러스 및 생화학 검사 그리고 간생검과 비침습적인.. HBV-DNA QUANTITATION HBV-DNA QUANTITATION 혈청 HBV DNA의 정량화는 CHB 환자의 평가와 항바이러스 치료의 효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HBV-DNA 분석법은 5 ~ 10 IU / mL의 민감도와 최대 7 log10 IU / mL dynamic range를 갖는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 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기술을 사용합니다. 일부 CHB 환자는 광범위하게 변동성이있는 HBV-DNA 수치를 갖으며, undetectable부터 200 만 IU / mL 이상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BV-DNA 수준의 연속적인 모니터링이 어느 한 시점의 cut-off 값보다 예후와 치료 필요성을 결정하는 데 더 중요합니다. Qu..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