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LP1

심혈관 안전성에 대한 당뇨병약제 결과 2008년 이후 FDA는 당뇨약제에 대해 심혈관 안전성에 대한 큰 시험 평가를 요구합니다 ​ 임상시험들과 데이터에 근거할 때 SGLT2억제제인 empagliflozin, canagliflozin과 GLP1 agonist인 liraglutide, semaglutide, dulaglutide가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심혈관 morbidity와 mortality를 감소시키는 것 같습니다. ​ ​ 메트포민, 글리메피리드, 글라진, 단기간의 DPP4억제제는 심혈관위험을 높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Saxagliptin 예외) ​ TZD는 체액 증가와 심부전 위험을 높이지만 인슐린저항성과 최근 뇌졸중 또는 TIA가 있었던 환자에서 피오글리타존은 심혈관 사건을 줄이는 것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 ..
Management of Hyperglycemia in T2DM, 2018. A Consensus Report by the ADA and EASD (3) SGLT2 inhibitors1. Empagliflozin compared with placebo : EMPA-REG OUTCOME : 제2형 당뇨병과 CVD가 있는 7020명의 환자를 대상, 평균 추적 관찰 3.1년 : ARR 1.6%, HR 0.86 (95% CI 0.74, 0.99; P = 0.04 for superiority) for the primary composite end point of nonfatal MI, nonfatal stroke, and cardiovascular death. : ARR 2.2%, HR 0.62 (95% CI 0.49, 0.77; P < 0.001) for cardiovascular death. : ARR 2.6%, HR 0.68 (95% CI 0.57, 0.82..
GLP1 agonists의 cardiovascular effects는? 다음 내용은 liraglutide(2016), semaglutide(2016), lixisenatide(2015) 연구 이후에 발표된 exenatide once weekly 내용입니다. Noninferiority trial에서, 14752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이전 심혈관 질환 : 73.1%)를 무작위 할당하여 일주일에 1회 exenatide 또는 위약을 투약하였습니다. 평균 추적 3.2년 후에 일차 종결점(a composite of first occurrence of death from cardiovascular causes, nonfatal myocardial infarction, or nonfatal stroke)은 두 그룹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11.4 versus 12.2 perc..
트루리시티, 보험급여 적용, 2017.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