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 썸네일형 리스트형 심방세동 환자의 추적 관찰 동안 뇌졸중 위험 재평가, CHA2DS2-VASc score reassessment during follow-up with AF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경구 항응고제는 CHA2DS2-VASc score 0점인 남자와 1점인 여자에서 생략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 위험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약 90% 환자는 뇌줄중으로 내원하기 전에 적어도 1개의 새로운 위험 인자가 생깁니다. 그러므로 처음에 CHA2DS2-VASc score 0점인 남자와 1점인 여자이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comorbidities를 갖는 심방세동 환자는 더 이상 low risk가 아닙니다. 1997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새롭게 진단된 AF이면서 CHA2DS2-VASc score 0점(남자 8745명), 1점(여자 5861명)이며 항혈소판제와 경구항응고제를 복용 중이지 않은 14606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입.. Stroke prevention in atrial fibrillation Ischemic stroke의 annual rate가 1.7% 이상은 되어야 와파린 사용에 이득. CHADS2 score (≥2) Circulation: Cardiovascular Quality and Outcomes. 2011;4:14–21 Figure 1. One-way sensitivity analysis: Annual rate of ischemic stroke. Quality-adjusted life expectancy for each of the 3 strategies (warfarin, aspirin, and no antithrombotic therapy) is shown as a function of the annual rate of ischemic stroke ranging from 0 t.. VF/pVT cardiac arrest 동안 항부정맥 약물: Amiodarone 또는 lidocaine 2015년 cardiac arrest algorithm에서 defirbillation을 시행할 수 있으면 shock을 주고 CPR을 시행 한 후 또 defirbillation을 시행할 수 있으면 shock을 주고 CPR을 시행하면서 3-5분마다 에피네프린을 주사하며 또 defirbillation을 시행할 수 있으면 shock을 주고 항부정맥 약물로 아미오다론을 투약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즉, 제세동과 에피네프린 투약에도 지속되는 VF/pVT에서 아미오다론을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2018년 알고리즘에서는 아미오다론 또는 리도케인 모두 가능한 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Amiodarone or lidocaine may be considered for VF/pVT that i.. 방 세동의 심박수 조절을 위한 디곡신 사용과 사망 위험 증가 심방 세동(AF)의 심박수 조절을 위한 디곡신의 역할은 사망률 증가에 대한 우려에 따라 수년간 의문이 제기되어 왔습니다. ARISTOTLE 임상 시험(AF 환자 약 18,000 명에서 항응고제 치료법을 비교한)에 대한 post-hoc subgroup analysis에서 디곡신 사용은 ≥ 1.2 ng / mL 수준에서 사망 위험 증가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첫 심박수 조절 약물로서 디곡신을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여기에 다른 속도 조절 약물들을 거의 추가하지 않습니다.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in patients with AF currently taking digoxin, the risk of death was independently related t.. AF with HFpEF/HFrEF, rate control AF with HFpEF 또는 AF with HFrEF의 임상 증상과 예후가 유사할지라도 치료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AF with HFpEF에서 CCB가 좀 더 적절할 수 있으나 AF with HFrEF에서는 베타차단제 그리고/또는 디곡신이 첫 치료 선택입니다. REF. UpToDate 2018.05.04 심방세동, 약제 선택과 투여 경로, Atrial fibrillation, drug selection and route of administration 심방세동에서 선택된 약물과 투여 경로(경구 대 정맥)는 임상 증상에 따라 결정됩니다. ◆ 베타 차단제 또는 베라파밀 또는 딜티아젬이 심부전(HF)이 없는 경우 디곡신보다 선호됩니다. ◆ 정맥 주사 또는 경구용 amiodarone은 다른 약물이 효과가 없거나 투여할 수 없을 때 심박수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Digoxin은 AF 및 EF이 감소된 HF 환자에서만 선호되는 약물입니다. 디곡신은 또한 베타 차단제 또는 칼슘 채널 차단제를 섭취할 수 없거나 이 약제들에 부적절하게 반응한 환자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 Preexcitation에서 디곡신, 베타 차단제, 베라파밀과 같은 방실 차단제는 피해야 합니다. 이러한 약물(AV nodal blockade)은 보다 빠른 accessor..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