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대한간학회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XIII 치료 종료 및 종료 후 모니터 치료 종료의 임상적 지표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간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낮추고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궁극적인 치료 목적에 도달하였음을 확인한 후 치료 종료를 결정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치료의 종료를 고려하고자 한다면 치료 목적을 잘 반영할 수 있으면서 치료 중 측정이 용이한 대체 지표의 변화를 치료 목표로 삼아 종료 시점을 선택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임상에서는 ALT 정상화, 혈청 HBV DNA의 불검출, HBeAg의 혈청소실 및 전환, HBsAg 혈청소실 및 전환 등을 치료 목표로 이용하고 있다. 다만, 간경변증 환자에서는 치료 종료 후 재발 시 이로 인하여 심각한 간부전의 위험 부담이 있어 약제의 종료는 권고하지 않는다.페그인터페론은 48주간 투여하는 것..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X 치료 약제 (5) 낮은 유전자 장벽의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낮은 유전자 장벽의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라미부딘, 텔비부딘, 클레부딘, 아데포비어는 HBeAg 양성 및 음성 만성 B형간염 환자의 1차 치료약제로는 권고되지 않지만, 높은 유전자 장벽의 약제가 등장하기 전 임상에서 사용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투약하고 있는 예들이 있어 간단히 요약하였다. 약제들 각각의 기전과 치료 효과, 약제 내성, 부작용 및 안전성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2015년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중 치료약제들 편을 참조한다.(1) 라미부딘라미부딘(lamivudine)은 뉴클레오시드 유사체(cytidine analogue)로 HBV 증식을 억제한다.1) 치료 효과HBeAg 양성 만성 B형간염: 라미부딘을 1-3년간 투여하였을 때 50% 이상의 환자에서 조직 소견이..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X 치료 약제 (2) 테노포비어 디소프록실 푸마르산 (2) 테노포비어 디소프록실 푸마르산테노포비어의 전구약물인 테노포비어DF는 HIV와 HBV 치료제로 승인된 경구용 항바이러스제이다. 테노포비어DF는 세포내 인산화 효소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인산화되어 tenofovir diphosphate로 활성화된 후, HBV 중합효소에 의하여 내인성 뉴클레오티드인 deoxyadenosine 5'-triphosphate (dATP)와 경쟁적으로 복제 중인 신생 HBV DNA로 삽입된다. 내인성 뉴클레오티드 대신 유입된 테노포비어DF는 DNA 염기사슬의 연장에 필수적인 3’-OH기가 없는 뉴클레오티드 유사체이므로 중합합성의 종결을 유도하고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한다. 이러한 작용 기전은 또 다른 뉴클레오티드 계열 유사체인 아데포비어와 매우 비슷하지만, 테노포비어DF의 항바이..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VI 치료 목적 및 목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