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인

제1장 한국인 이상지질혈증의 역할 [2018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제4판] 1. 개정 배경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제4판은 이전 제3판의 치료지침을 근간으로 하여, 2015년 이후 새롭게 출시된 약제 및 최근 보고된 많은 임상연구 결과들의 근거수준과 전문가의견을 바탕으로 실제 이상지질혈증을 진료하는 일차의료기관부터 삼차의료기관까지의 모든 의사들에게 이상지질혈증의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제작되었다. ​ 2. 목차 구성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제4판의 구성은 이전 제3판의 이상지질혈증의 역학, 진단 및 치료기준, 생활요법, 약물요법, 특수집단에서의 이상지질혈증의 큰 틀은 유지하면서, 맨 앞에 을 추가하였고, 맨 뒤에 를 추가하여 추후 치료치침을 만들 때 필요한 연구들에 대해 정리하였다. ​ 3. 변경 내용 제3판에 비해 제4판에서 개정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한국 real world date 분석, DPP4 억제제의 심혈관 위험 비교 Korean Circ J. 2018 May;48(5):395-405 using the claims database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 한국인 국민건강보험 데이터 분석 결과 시타글립틴 사용자와 비교하여 심혈관 사건에 대한 상대위험도는 빌다글립틴에서 0.97 (95% confidence interval [CI], 0.94–1.01; p=0.163) 삭사글립틴에서 0.76 (95% CI, 0.71–0.81;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