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외결핵 썸네일형 리스트형 결핵 진료지침 2020 [VI 폐외 결핵] 결핵 진료지침 2020 [VI 폐외 결핵] 결핵은 인체의 모든 장기에서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결핵이 폐에서 발생하므로 폐 이외의 장기에서 결핵이 발생한 것을 폐외 결핵(extra-pulmonary tuberculosis) 또는 비호흡기 결핵(non-respiratory tuberculosis) 이라고 부른다. 기관지 결핵은 폐결핵의 한 형태이지만 임상양상이 다른 폐결핵과 다른 부분이 많으므로 이번 단원에서 다룬다. 폐외 결핵은 초감염 결핵이나 재발성 결핵의 형태 모두로 나타날 수 있다. 국내 폐외 결핵의 현황은 결핵신고 신환자율로 볼 때 전체 결핵의 약 11-17%를 차지하고, 2001년부터 보고자 수와 전체 결핵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폐외 결핵은 폐결핵에 비해 상대적.. 결핵 진료지침 2020 [V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과 결핵] 결핵 진료지침 2020 [IV 특수한 상황에서의 결핵 치료] 결핵은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감염인에서 발생하는 주요한 기회감염 질환 중의 하나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HIV 감염인의 기회감염질환 중 11-25%를 차지한다. 우리나라에서 HIV와 결핵의 동시 감염률은 2005년 인구 100,000명당 0.095였고,4 1998-2010년 사이에 조사한 HIV 감염인에서 결핵발생률은 100 환자-년(patient-year) 당 1.19였는데,5 효과적인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antiretroviral therapy, ART)로 인하여 발생률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HIV 감염인에서 결핵 발생은 CD4 림프구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면역상태가 낮을수록 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