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체중감량

2022년 고혈압 진료지침 [3. 고혈압의 치료] (2) 비약물치료 및 생활요법 제 III 장. 고혈압의 치료 9. 비약물치료 및 생활요법 건강한 식사습관, 운동, 금연, 절주 등과 같은 비약물치료 또는 생활요법은 혈압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뚜렷하기 때문에 모든 고혈압환자에게 중요할 뿐 아니라, 주의혈압 및 고혈압 전단계 혈압인 사람에게도 고혈압의 예방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권장한다. 좋은 생활습관은 고혈압약 한 개 정도의 혈압 강하 효과가 있다201). 또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고혈압환자도 생활요법을 병행함으로써, 복용 약의 용량 및 개수를 줄이고 약의 효과를 최대화하며,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생활 습관을 개선하면 혈압을 낮추는 효과 이외에 도 다른 심혈관 위험을 동시에 감소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생활요법은 지속적으로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고, 효과 면에서 ..
제2형당뇨병과 비만/과체중 - 체중 감량, 도움이 되는 약제들 ● 제2형 당뇨병과 과체중 또는 비만이 있는 사람에서 5% 이상의 체중감량이 권고된다. 임상적 이득은 3-5% 체중 감량 시 시작되고 체중 감량이 점점 될수록 그 이득도 점점 커진다. ● 비만 약물 치료 3개월 후 5% 이상 체중 감량이 없으면 다른 약물 또는 치료 방법을 고려한다. ● 과체중 또는 비만이면서 당뇨병이 있는 경우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되는 약제는 metformin, α-glucosidase inhibitors, 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inhibitors, 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s, dual glucagon-like peptide 1/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체중 감량, Manage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weight loss ​ 체중 감량은 대부분의 비알코올성지방간 환자의 일차 치료 방법입니다. 단순히 '지방간 치료에 도움이 된다'라는 정도가 아니라 중요한 치료 방법입니다. ​ BMI가 25보다 큰 모든 비알코올성지방간 환자에게 체중 감량을 권고합니다. 왜냐하면 체중감량은 간 수치 검사, 간 조직 검사, 혈청 인슐린 수치,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식이 습관 조절과 운동을 포함한 생활습관 개선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 ​ REF. UpToDate 2021.01.06
체중감량과 고혈압, Weight reduction and hypertension https://blog.naver.com/sjloveu2/222015526639 ​ * 최근 체중감량을 하고 고혈압약을 중단 또는 감량하기로 결정한 환자들이 많아 공유합니다. 같은 내용의 글들이 최근 많았습니다. ^^;; ​ ​ 2018년부터 2019.07월까지 amlodipine + valsartan을 복용 중인 환자가 11개월만에 내원하였습니다. 그 사이에 혈압약을 복용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 이전에는 혈압이 140/90 mmHg 전후하여 혈압약을 증량해야 할 정도의 수치를 보였는데 혈압약을 복용하지 않는지 11개월만에 내원하였는데 혈압이 120/80 mmHg으로 측정되고 당화혈색소에 6.1 %에서 5.7%로 감소된 수치를 보입니다. 4 kg의 체중감소가 있었습니다. ​ 이것은 혈압약을 끊을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