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혈압의 병리학적 결과 (심장, 뇌, 신장, 말초동맥) 심장심장 질환은 고혈압 환자에서 가장 흔한 사망 원인입니다. 고혈압성 심장 질환은 구조적 및 기능적 적응의 결과로, 좌심실 비대, 심방 크기 증가, 심부전(CHF), 죽상동맥경화성 관상동맥 질환, 미세혈관 질환, 심방세동을 포함한 심장 부정맥을 초래합니다. ​좌심실 비대가 있는 개인은 혈압과 관계없이 관상동맥질환(CHD), 뇌졸중, 심부전(CHF), 그리고 급사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고혈압 조절은 좌심실 비대를 줄이거나 역전시키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 칼슘 점수는 표적 장기 손상을 비침습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지표이며, 심혈관 사건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잠재적 지표의 개선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는 현재 상대적으로 부족합니다.​심부전(CHF)은 수축기 기능 ..
수막염 대 뇌염, Meningitis versus encephalitis 정상적인 뇌 기능의 유무는 뇌염(encephalitis)과 수막염(meningitis)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수막염이 있는 환자는 두통으로 무기력하거나 산만해질 수 있으나 뇌 기능은 정상입니다. 대조적으로, 뇌염을 가진 환자는 일반적으로 정신 상태, 운동 또는 감각 결손, 행동 및 성격 변화, 언어 또는 운동 장애와 같은 뇌 기능 이상을 나타냅니다. 발작 및 발작 후 상태는 수막염에서도 볼 수 있으며 뇌염의 확실한 증거로 해석되어서는 안됩니다. 다른 신경학 증상으로는 hemiparesis, flaccid paralysis, paresthesias가 있습니다. ​ 그러나 일부 환자는 두 가지의 임상 특징을 가진 뇌실질 및 수막 과정을 모두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두 개체 간의 구별이 빈번하게 흐릿합니다. 뇌..
Distribution of the trigeminal nerve(cranial nerve V) REF. UpToDate 2018.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