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질성신염 썸네일형 리스트형 급성 간질성 신염, 요침사 검사, Acute intestinal nephritis, a characteristic urine sediment AIN에서 소변은 보통 white cells, red cells, white cell casts를 나타내고 드물기는 하지만 GN의 특징인 red blood cell casts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일부 환자들에서는 소변 검사가 정상일 수도 있고, isolated microhematuria와 isolated leukocyturia만 있기도 합니다. 즉 소변 검사에서 이상이 없다고 AIN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단백뇨는 없을 수도 있고 조금 있을 수도 있고 1g/day보다 많을 수도 있습니다. Acute tubulointerstitial nephritis(AIN)의 진단 AIN은 혈청 크레아티닌이 상승하고 white cells, white cell casts, 일부 경우에 eosinophiluria를 보이는 소변검사로 내원한 환자에서 의심되어야 합니다. Red blood cells과 red blood cell casts조차도 또한 관찰될 수 있으나 gross hematuria는 분명히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약물 유발성 AIN은 특징적인 검사 소견의 발현이 시간적으로 새로운 약제(특히 이전에 AIN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던)의 개시와 관련될 때 의심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가끔 환자들은 세포나 casts가 거의없는 bland sediment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비교적 정상적인 소변 검사로 진단을 배제해서는 안됩니다. AIN의 확진은 신생검으로 합니다. 일반적인 유발 약.. 일차성 사구체신염의 진단, 대한내과학회지, 2013 사구체 질환은 염증성 혹은 비염증성 기전에 의해 사구체가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환들을 총칭한다. 그 원인이 확실하지 않으면 일차성(혹은 특발성) 사구체 질환(primary or idiopathic glomerular disease)이라고 하고, 전신 질환에 의해 발생한 경 우에는 이차성 사구체 질환이라고 한다. 일차성 사구체 질환은 대개 소변 검사에서 혈뇨나 단백뇨 등의 이상이 발견되는데, 특별한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 혈뇨나 단백뇨가 별로 심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중요한 사구체신염의 진단이 늦어지기도 한다. 사구체 질환의 임상적인 분류 사구체 질환은 임상적으로 무증상성 요이상(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y),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