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patotonics 종류와 적응증(허가)
L-ornithine-L-aspartate (LOLA, 헤파멜즈)는 미국 이외의 국가에서 간성 뇌증 환자에게 종종 투여됩니다. LOLA와 표준 요법 (즉, 락툴로스 또는 락티톨)을 비교하는 임상 시험이 필요하지만 L-ornithine-L-aspartate (LOLA, 헤파멜즈) 치료는 위약과 비교하여 이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LOLA는 건강 관련 질을 향상시킵니다.
4 가지 임상 시험의 메타 분석에서, L-ornithine-L-aspartate (LOLA, 헤파멜즈)를 투여한 간성 뇌증 환자는 위약을 투여받은 환자들에 비해 임상적으로 호전될 가능성이 더 높았습니다(OR 3.71, 95% CI 1.98-6.98).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 placement를 시행한 40 명의 환자의 시험에서, LOLA 예방적 사용은 정맥 암모니아 농도의 식후 증가를 감소시키는데 안전하고 효과적이었습니다.
L-ornithine-L-aspartate (LOLA, 헤파멜즈)는 급성 간 부전에서 간성 뇌증 환자에게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L-ornithine-L-aspartate (LOLA, 헤파멜즈)는 암모니아(ammonia)의 글루타민(glutamine)으로의 대사를 증진시킴으로써 혈장 암모니아 농도를 낮춥니다. Periportal hepatocytes에서 요소의 형성 및/또는 perivenous hepatocytes에서 글루타메이트(glutamate)의 글루타민(glutamine)으로의 합성에 의해 암모니아가 체내에서 제거됩니다. 간경변증 환자에서 carbamyl phosphate synthetase와 glutamine synthetase(요소 및 글루타민 합성의 주요 효소)의 활성이 손상되고 glutaminase flux가 보완적으로 증가하여 고암모니아 혈증이 발생합니다. 오르니틴(Ornithine)은 periportal hepatocytes에서 carbamyl phosphate synthetase와 ornithine-carbamyl transferase의 activator 역할을하며, 또한 urea 생성을 위한 기질 역할을 합니다. Ornithine (via alpha-ketoglutarate)와 aspartate는 글루타민 합성의 자극을 통해 이들 세포에 의한 암모니아 제거를 증가시킵니다.
REF. UpToDate 2019.03.19
'소화기내과(간) > 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버트 증후군(질베르 증후군), Gilbert syndrome (0) | 2019.05.10 |
---|---|
밀크시슬(밀크티슬, 하노마린), Milk thistle(Hanomarin) (0) | 2019.03.31 |
고덱스,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 등, Godex,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BDD) (0) | 2019.03.17 |
[빌리루빈 대사] 빌리루빈 형성, Formation of bilirubin ① (0) | 2019.03.16 |
마취 예정인 환자에서 흡인 예방, 라니티딘 사용, Aspiration prophylaxis in patients undergoing anesthesia (off-label use) (0) | 2019.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