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약 소개
1. 치료 약제 소개
1) 조절제
(1) 흡입스테로이드
① 역할
흡입스테로이드는 지속성 천식의 치료약제 중 가장 효과적인 항염증약제이다. 여러 연구에서 흡입스테로이드의 사용은 천식 증상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호전시키며, 폐기능을 개선시키고1 , 기도과민성을 감소시키며2 , 기도 염증을 조절하고3 악화의 빈도와 중증도를 감소시키며4 , 천식으로 인한 사망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5 . 천식 진단 시 처음부터 저용량의 흡입스테로이드를 시작하면 폐기능 개선효과가 좋으며6,7, 천식 진단 시부터 흡입스테로이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고용량 흡입스테로이드가 필요할 수 있다8 . 그러나, 흡입스테로이드의 사용도 천식을 완치시키지는 못하며, 상당수의 환자에서 흡입스테로이드를 중단하면 수주에서 수개월내에 다시 천식 증상이 악화된다9,10. 흡입스테로이드의 효능과 생체이용률은 약제마다 차이가 있다. 표 4-1은 흡입스테로이드에 대한 문헌 결과를 참고하여 여러 가지의 흡입스테로이드의 동등한 효능을 보이는 대략적인 용량을 제시하고 있다. 저용량, 중간용량, 고용량 등으로 분류를 하였으나 각 약제의 명확한 용량-반응관계가 증명된 것은 아니다. 일부 스테로이드의 효과는 흡입기구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11. 성인에서 흡입스테로이드의 대부분의 효능은 budesonide 용량으로 하루 400μg 정도의 용량이면 나타나며12, 용량을 높일수록 이득에 비해 부작용의 위험이 커진다12,13. 흡입 스테로이드 사용시, 흡입스테로이드에 대한 반응이 환자 개개인에 따라 다양하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흡연은 흡입스테로이드의 반응을 감소시키기에 흡연자에서는 투여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효과적인 천식조절을 위하여 흡입스테로이드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보다는 조절제 중 다른 약제를 추가하는 것이 더 선호된다14. 증상과 염증 표현형에 따라 반응 정도가 다르기는 하지만 흡입스테로이드의 용량과 천식의 중증 급성악화 예방 사이에는 명확한 상관성이 있다4 . 따라서, 몇몇 중증 천식환자는 고용량 흡입스테로이드의 지속적인 사용이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다.
② 부작용
흡입스테로이드의 국소 부작용으로 구인두 캔디다증, 목소리 변형, 상기도 자극에 의한 간헐적 기침 등이 있다. 정량흡입기(metered-dose inhaler) 사용시 흡입보조기(spacer)를 사용하면 이러한 국소 부작용을 줄일 수 있으며15, 약제 흡입 후 구강 세척을 하면 구강 캔디다증을 줄일 수 있다. Ciclesonide 약제는 전구약제(prodrug)를 흡입하여 약제가 폐에 도달하여야 활성화되므로 흡입보조기나 구강세척을 하지 않아도 국소 부작용이 적다16.
흡입스테로이드의 일부는 폐에서 흡수되어 전신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흡입스테로이드의 전신 부작용의 위험성은 용량, 효능, 투여기구, 생체이용률, 간에서 일차 통과대사 및 반감기 등에 따라 차이가 난다17. 흡입스테로이드의 종류에 따라서도 전신 부작용은 차이가 있다. Ciclesonide, budesonide, fluticasone 등은 비슷한 효능을 보이는 용량을 사용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전신적 효과가 적다고 알려져 있다17,18. 최근 연구결과에서는 budesonide 400μg/일 보다 적은 용량 혹은 비슷한 용량을 사용하면 전신 부작용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었다.
고용량 흡입스테로이드의 장기간 사용에 의한 흔한 전신 부작용은 부신 억제15,17, 피부멍19, 골밀도 감소20 등이 있다. 흡입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환자-대조군 연구의 메타분석에 의하면 budesonide 1,000 μg/일 증가 사용시마다 척추 외 골절의 상대위험도가 12% 정도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흡입스테로이드의 사용이 백내장21, 녹내장22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지만 전향적 연구에서는 백내장의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근거는 없었다23. 이러한 부작용의 임상적인 중요성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고용량의 흡입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중증 천식환자는 경구스테로이드도 동시에 복용하기에 두 약제의 효과를 분리해서 평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고용량 흡입스테로이드의 사용이 결핵의 유병율이 높은 지역에서 결핵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24. 그러나, 활동성 결핵환자에서도 흡입스테로이드의 사용이 금기는 아니다25.
(2) 흡입스테로이드와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 복합제
① 역할
흡입스테로이드로 천식 조절이 안 된 경우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inhaled long-acting β2 -agonist, LABA)를 추가하여 사용한다.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 추가는 흡입스테로이드 단독 요법에 비해 천식 증상, 야간 증상을 감소시키고, 폐기능을 호전시키며, 흡입속효성베타작용제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천식 악화의 발생을 줄이며, 천식 관련 입원 위험을 감소시킨다26,27. 또한, 대부분의 환자에서 천식 조절이 더 빨리 되고 흡입스테로이드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흡입스테로이드와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기에 두 약제를 혼합한 복합제가 사용되고 있다(fluticasone-salmeterol, budesonide-formoterol 등). 이 복합제는 환자가 사용하기 편하며 치료 순응도를 높일 수 있으며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의 단독 사용을 막을 수 있다28. 저용량 budesonide-formoterol와 beclomethasoneformoterol 복합제는 증상완화 및 조절제 두 가지에 모두 사용된다. Salmeterol과 formoterol은 비슷한 기관지 확장 효과와 기관지 수축 억제 효과를 가지지만 formoterol이 salmeterol에 비해 작용 시간이 빨라 증상 예방뿐만 아니라 증상 완화제로 사용할 수 있다29. 따라서, 간헐적 천식증상이 있는 경증 천식에서 증상완화제로 저용량 budesonide-formoterol와 beclomethasone-formoterol 복합제를 처음부터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30. 운동유발성 기도 수축을 예방하는데 있어서도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를 흡입스테로이드와 병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흡입속효성베타작 용제에 비해 지속 효과가 길다.
② 부작용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의 사용은 심혈관 자극, 골격근 진전, 저칼륨혈증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나 경구베타 작용제보다는 적다. 흡입속효성베타작용제와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를 지속적, 규칙적으로 사용하면 베타작용제에 대한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Salmeterol이 소수 환자에게 천식 관련 사망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어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의 사용은 흡입스테로이드나 경구스테로이드를 대체할 수 없으며 항상 흡입스테로이드와 함께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31.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와 흡입스테로이드의 병합 요법은 흡입스테로이드 단독에 비해 증상 조절, 폐기능 개선, 천식 악화 빈도 감소에 우월한 효과를 보이며 흡입스테로이드 단독으로 충분히 조절될 수 없는 환자에서 사용하기를 권하고 있다. 조절이 된 경우에는 가능한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는 중단하고 흡입스테로이드를 천식 조절제로 유지하기를 권하고 있다32.
(3) 류코트리엔 조절제
① 역할
류코트리엔 조절제는 류코트리엔수용체 길항제인 montelukast, pranlukast, zafilukast 등 이 있다. 임상 연구에 의하면 류코트리엔 조절제는 약간의 기관지 확장효과와 기침 같은 증상을 감소시키고, 폐기능을 호전시키며, 기도 염증을 감소시키고, 천식 악화를 감소시킨다33. 아스피린 과민성 천식환자에서 항류코트리엔제가 특히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경증 지속성 천식환자에서 흡입스테로이드 대신 사용될 수 있으나, 항류코트리엔제의 단독 사용은 저용량 흡입스테로이드보다 효과가 적다34. 하지만, 일부 흡입스테로이드 치료를 초기 유지 치료로 원하지 않거나, 사용할 수 없는 환자, 심한 부작용을 보인 환자, 혹은 알레르기 비염을 동반한 환자에게 초기 유지치료로 사용할 수 있다34-36. 흡입스테로이드에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은 스테로이드 용량을 줄일 수 있고, 저용량 혹은 고용량 흡입스테로이드로 잘 조절이 되지 않는 경우 류코트리엔 조절제를 추가하면 증상 조절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추가 약제로서의 효과는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보다는 열등하다는 것이 대다수의 연구를 통해 보고되었다37. 류코트리엔 조절제는 부작용이 거의 없지만, 미국 FDA는 montelukast의 정신 건강 부작용 위험에 대해 경고하였고, 이러한 부작용의 위험과 이점을 고려하여, 처방하도록 권고하였다38.
(4) 전신스테로이드
① 역할
5단계 조절제를 제대로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증상 조절이 잘 되지 않거나, 악화가 잦은 경우 저용량 경구스테로이드(≤7.5 mg/일 prednisone equivalent)를 추가 사용하면 성인 중증 천식환자에게 효과적인 경우가 있으나39, 부작용 발생의 위험이 커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들에 대한 정보가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40,41.
② 부작용
만일 장기간 경구스테로이드의 사용이 필요하다면 전신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투여 방법으로는 비경구보다 경구 치료가 좋은데, 그 이유는 염류코티코이드(mineralocorticoid) 효과가 적고, 반감기가 비교적 짧으며, 근육에 대한 부작용이 적으며, 천식 조절에 필요한 용량을 최소량으로 맞추기 쉽기 때문이다. 발생할 수 있는 전신 부작용에는 골다공증, 고혈압, 당뇨병,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 억제, 백내장, 녹내장, 비만, 피부 얇아짐, 근력 약화 등이 있다. 3개월 이상 전신스테로이드 치료가 필요한 천식 환자는 골다공증 발생 위험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고 생활습관에 대한 상담과 함께 골다공증 예방약을 투여해야 한다42. 이외에도 결핵, 기생충 감염, 우울증, 소화성 궤양이 있는 경우 주의하여야 하며 자주 진료받기를 권장한다.
(5) Macrolide계 항생제
① 역할
중등도 용량 이상의 흡입 스테로이드와 지속성기관지확장제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되는 성인 천식환자에서 주 3회 250 mg 또는 500 mg azithromycin을 추가로 투여하면 호산구 및 비호산구 천식의 악화를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3,44.
② 부작용
부작용으로는 설사가 많았고, azithromycin 같은 macrolide 계통의 항생제는 이독성, 부정맥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임상 연구에서는 청각 장애가 있거나 심전도상 QT 간격이 연장된 천식환자들은 제외하였다45,46. 조절되지 않는 중증 천식환자에게 azithromycin 추가 투여를 고려할 때는 가래 검사를 하여 비결핵항산균 감염 여부를 확인해야 하고 항생제 내성이 증가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있어야한다.
2) 증상완화제
(1) 흡입속효성베타작용제
흡입속효성베타작용제는 천식 급성악화 때 기도 폐쇄를 완화하거나 운동유발천식 환자에서 운동 전 처치로서 일차적으로 사용한다. Salbutamol, terbutaline, fenoterol, levalbuterol, reproterol, 그리고 pirbuterol 등의 약제가 이에 해당한다. Formoterol은 지속성베타작용제이나 효과 발현시간이 짧아 증상완화제로서 허가 받은 약물이다. 그러나 formoterol은 흡입스테로이드를 조절제로 규칙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환자에게 증상 완화 목적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47. 경증 천식 환자에서 운동 전 처치로서 저용량 budesonide-formoterol은 흡입속효성베타작용제와 유사한 운동유발성 기관지 수축 방지 효과를 보인다48. Salbutamol과 terbutaline의 효과는 비슷하며, 흡입 아드레날린 (epinephrine) 제재는 salbutamol이나 terbutaline에 비하여 더 효과적이지는 않다49. 흡입속효성베타작용제는 필요할 때만 가장 최소 용량과 빈도로 사용하여야 하며 매일 규칙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추천되지 않는다. 흡입속효성 베타작용제의 사용이 증가할 경우, 특히 매일 사용하는 경우는 천식 조절 악화의 경고 증상으로, 치료 단계를 높이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천식 급성악화 때 흡입속효성베타작용제를 사용해도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단기간의 경구 스테로이드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을 정도의 급성악화라면 정량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 MDI)를 사용하여 흡입속효성베타작용제를 반복 투여할 수 있으며,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급성악화에서는 네불라이저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중증 급성악화 네불라이저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흡입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2) 저용량 흡입 스테로이드/formoterol 복합제
조절제와 동일한 성분이라면 저용량 흡입 스테로이드-formoterol 복합제를 필요시마다 사용할 수 있다. 경증 천식에서 필요시 저용량 흡입 스테로이드-formoterol 복합제는 속효 베타 2 항진제 단독 사용보다 중증 천식 악화를 감소시켰다.
(2) 속효성항콜린제
흡입속효성항콜린제 (ipratropium bromide)는 천식환자에서 기관지확장제로 사용하지만, 흡입속효성베타작용제에 비하여 증상 완화 약제로서의 효과는 작다. 급성악화로 응급실에 내원한 천식 환자에서 흡입속효성베타작용제와 흡입 ipratropium bromide를 같이 사용한 연구들을 메타분석한 연구에서 항콜린제의 추가는 약간의 폐기능 개선 효과가 있었고, 입원의 필요성을 유의하게 줄였으며, 회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50-52. 흡입속효성베타작용제를 사용하면서 빈맥이나 부정맥, 떨림과 같은 증상을 경험하는 환자에게 대체할 수 있는 기관지확장제로서 흡입 ipratropium bromide가 인식되고 있으나 천식환자에서 장기간 사용에 대한 효과는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 Ipratropium bromide의 부작용으로 구강 건조증이나 쓴맛 등이 있다. 점액 분비와 관련된 부작용이 나타난다는 증거는 없다53.
3) 생물학적 치료제
(1) 항 IgE 항체
항 IgE 항체인 omalizumab은 혈액내 IgE의 Fc부분에 결합해서 비만세포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막으며 IgE를 감소시키고 수용체 발현을 감소시킨다. 4-5단계 천식치료에도 조절되지 않는 6세 이상의 심한 알레르기천식 환자에게 투여 가능하다54,55. 총 혈청 IgE와 체중이 투여 가능한 범위 이내 이어야 하고 흡입 알레르기 반응검사인 피부단자검사 또는 특이 IgE 항체검사에서 알레르기천식 여부를 확인한다. 항 IgE 항체가 상기 적응증 외에 임상적으로 도움이 되는 상황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매 2-4주마다 피하로 주사하는데 최소 4개월 이상의 투여가 권장되며 환자의 체중과 혈청 IgE 수치에 따라 투여용량이 결정된다. 중증 천식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무작위 대조군 연구에서 항 IgE 항체 사용 후 중증 악화를 34% 줄였으나56, 증상과 삶의 질은 위약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54. 다른 임상 연구들에서는 지난 1년간 중증 악화가 1회 이상 발생한 중증 알레르기천식 환자들이 항 IgE 항체 사용 후 악화률이 50-65% 감소하였고, 삶의 질이 향상되었으며, 경구스테로이드의 용량을 40-50% 줄일 수 있었다57,58. 항 IgE 항체에 대한 좋은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은 혈액 호산구수 ≥260/μl59,60 및 호기산화질소 ≥20 ppb59이었으나, 대규모 관찰연구에서는 호산구수와 상관없이 악화를 줄였다58,61. 또한, 유년기에 발병한 천식과 알레르기항원에 의해 유발되는 증상들을 시사하는 병력이 있으면 치료반응이 좋았고 반면에 기저 총 IgE 수치는 치료 반응을 예측하지 못하였다57.
타 장기에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약이지만 국소 피부 반응이 생길 수 있고, 드물게(~0.2%) 아나필락시스(기도 수축, 저혈압, 실신, 혈관 부종)가 발생할 수 있는데 대부분 2시간 이내 발생하였다62,63. 그러므로 의료진의 감독하에서 항 IgE 항체가 투여되어야 하며 충분한 시간 동안 관찰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것이 권고된다. 초기 1상부터 3상 연구까지의 분석에서 omalizumab 투여군에서 악성 종양이 위약군보다 숫자상으로 높게 보고되어(0.5% vs. 0.2%) 우려가 있었으나, 이후 시행된 합산 데이터 분석과 미국식품의약국에 의해 권고되어 수행된 4상 연구에서 5년간 추적한 코호트에서는 omalizumab을 사용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악성종양 발생위험도는 차이가 없었다64,65.
(2) 항 interleukin (IL)-5 / 항 IL-5 수용체 항체
항 IL-5 치료는 지난 일년동안 악화를 경험한 중증 천식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무작위대조군 연구에서 중증 악화를 55%까지 감소시키고, 삶의 질, 폐기능, 증상 조절을 향상시키며 혈중 호산구를 감소시켰다66. 항 IL-5 항체로 mepolizumab, reslizumab이 있고 IL-5 수용체에 대한 항체인 benralizumab이 있다. Mepolizumab은 4주마다 100mg을 피하 주사하며, 고용량 흡입스테로이드 혹은 경구스테로이드를 투여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객담 호산구가 상승되어 있는 환자에게 mepolizumab을 투여하였을 때, 천식악화의 빈도를 감소시키고, 증상조절을 호전시키며, 삶의 질도 개선시켰다67. 또 다른 연구에서도 mepolizumab은 경구스테로이드 사용의 감소, 악화 감소, 증상 조절의 개선을 보여주었다68. Reslizumab은 4주마다 3mg/kg로 정맥 주사하며, 중간용량에서 고용량 흡입스테로이드로 치료함에도 불구하고, 천식증상이 조절되지 않고 지난 일년동안 중증악화를 한번 이상 경험한 기저 혈중 호산구가 400/μl 이상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 연구에서 위약과 비교하여 악화를 50%까지 감소시켰고 폐기 과 증상 조절의 개선 효과를 보였다66. 성인발병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reslizumab 효과 연구에서도 위약과 비교하여 악화 감소와 폐기능 향상에 좋은 효과를 보였다69.
Benralizumab은 다른 항 IL-5 항체와 달리 IL-5 수용체의 α-subunit에 결합하는 항체로, 호산구 증식과 활성화를 억제한다. 동시에 자연세포독성세포(natural killer cells) Fc 수용체에 결합하여 항체의존-세포매개-세포독성 기전으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다른 수동적인 IL-5 항체보다 효과적으로 호산구를 고갈시킬 수 있다70,71. Benralizumab은 첫 3번은 4주마다, 이후 8주마다 30mg을 피하 주사하며, 중증천식 환자에서 악화를 감소시키고, FEV1 을 향상시켰으며, 혈중 호산구가 높은 환자에서 좋은 효과를 보였다72. 또 다른 다기관연구에서 중증천식 환자 대상 Benralizumab 치료는 FEV1 개선 효과는 없었으나, 경구스테로이드 용량 감소와 악화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73.
(3) 항 IL-4 수용체 항체
Dupilumab은 Il-4 수용체의 α-subunit에 대한 항체로 IL-4와 IL-13의 신호 전달을 동시에 억제한다. 스테로이드 비의존성 중증 천식 환자는 처음 400mg 혹은 600mg 피하 주사 후 2주 마다 200mg 혹은 300mg을 투여하며, 스테로이드 의존성 중증 천식 환자는 처음 600mg 피하 주사 후 2주마다 300mg을 투여한다. 중증 천식악화 감소와 폐기능 및 천식조절 향상의 효과를 보이고, 기저 호산구가 상승되어 있는 환자에서 더 큰 효과를 보였다74. 또한 조절되지 않은 지속성 천식환자에서 폐기능 향상, 중증악화 감소를 보였고, 흡입스테로이드와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 복합제에 추가 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75. 경구스테로이드 의존성 중증천식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용량이 감소하는 소견을 보였다74. 부작용으로는 주사부위 피부 반응과 일시적인 호산구증가증이 있다.
4) 기타 약제
(1) 지속성항콜린제
① 역할
지속성항콜린제(long-acting anticholinergics) 또는 지속성항무스카린제(long-acting muscarinic antagonist, LAMA)로는 tiotropium, glycopyrronium, umeclidinium, aclidinium 등이 있다. 국내에서 허가된 약은 soft mist 형태의 tiotropium의 추가 요법과 mometasone-indacaterol-glycopyrronium 3제 요법이 있다. 흡입 스테로이드 또는 흡입 스테로이드/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 복합제 투여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조절되지 않고 기도폐쇄가 지속되는 환자에서 삶의 질과 폐기능을 호전시키고 급성악화의 발생을 줄였다.76,77 하지만 흡입스테로이드에 조절되지 않는 천식환자에게 추가하는 흡입지속성기관지확장 제로써 tiotropium이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보다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78,79 따라서 흡입스테로이드와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 복합제 사용에도 잘 조절 되지 않는 천식 환자에서 흡입지속성항콜 린제 추가를 고려한다.
② 부작용
Tiotropium의 환자-대조군 임상연구에서 위약대비 구강 건조의 빈도가 높게 보고되었으나76,77, 여러 임상 연구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위약대비 부작용의 빈도 차이가 없었다80,81.
(2) 테오필린
① 역할
테오필린(theophylline)은 기관지확장제로서 일부 항염증ㆍ면역조절 효과가 있다82. 테오필린은 흡입스테로이드가 개발되기 전에는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다른 조절제 대비 낮은 효과를 보인다83-85. 따라서 흡입스테로이드와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 항류코트리엔제 등의 조절제를 우선 처방하고 그럼에도 조절되지 않는 천식 환자에게 고려할 수 있다.
② 부작용
테오필린의 부작용은 고용량(≥10 mg/kg/일)을 사용하는 경우에 흔하다. 구역, 구토는 가장 흔한 초기 부작용이다. 또한 위장관 증상, 무른 변, 심장 부정맥, 경련 발작 등이 생길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일반적인 용량에서 부작용을 보이는 경우, 고용량을 사용하기 시작한 경우, 치료 효과가 미미한 경우, 테오필린의 대사에 영향을 주는 다른 상황이 존재하는 경우 혈청 테오필린 농도 측정이 필요하다. 발열, 임신, 항결핵약제의 사용은 테오필린 혈중 농도를 감소시키며, 간질환, 신부전 및 일부 약제(cimetidine, 일부 quinolone, 일부 macrolide) 등은 부작용 위험을 증가시킨다86. 항염증 효과를 기대하고 사용하는 저용량 테오필린은 부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과다 복용이 의심되지 않으면 혈중 농도를 측정할 필요는 없다.
'알레르기내과 > 알레르기천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천식 진료지침 : 면역치료 등 기타 천식 관련 치료, 위험인자 관리 및 예방, 천식 치료 및 모니터링 (2) | 2024.05.02 |
---|---|
문정역내과 천식 200 진료지침 : 천식의 진단, 평가 및 감별진단 (0) | 2024.05.02 |
문정동내과 천식 2022 진료지침 : 천식의 정의, 역학 및 질병부담, 원인, 기전 (0) | 2024.05.02 |
문정동내과 폐기능검사에서 기관지확장제에 의한 가역반응 해석 (0) | 2024.04.25 |
천식, 흡입 스테로이드 필요성 (GINA step 3, NAEPP 2020 moderate persistent asthma step3)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