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의 개괄
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종양에는 가장 흔한 위 샘암 (gastric adenocarcinoma, 전체 85%), 위 림프종 (전체의 10-15%), 위장관 기질성 종양 (GIST, 전체의 1-3%) 등이 있습니다.
위 샘암의 경우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으로 나뉩니다. 조기 위암은 림프절 침범 여부에 관계없이 점막과 점막하층에 국한된 암을 의미합니다. 이는 융기형 (type I), 표면형 (type II, 이는 돌출/함몰 정도에 따라 a, b, c형으로 다시 나뉩니다), 궤양형 (type III)으로 분류됩니다. 조기 위암이더라도 5-20%의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진행성 위암은 위벽의 근육층이나 serosa까지 침범한 암을 의미하며 이 경우 원격 전이가 많고 예후가 나쁩니다. 진행성 위암은 Bormann classification 에 따라 4가지 아형으로 분류됩니다 (type 1은 polypoid, 2는 ulcerofungating, 3는 ulceroinfiltrating, 4는 diffuse type cancer 입니다. 이 4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아형을 type 5인 미분류형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위암은 조직학적/발생 경로에 따라 크게 2가지 분류가 가능합니다. 먼저 가장 흔한 intestinal type cancer의 경우 H. pylori 감염에 의한 위축성 위염이 발생한 다음 장상피형 화생 (intestinal metaplasia), dysplasia (이형성)에 이어 암이 됩니다. Signet ring cell carcinoma 로 대표되는 diffuse type 암의 경우 유전적 변이/ 가족성 위암과 관련 있습니다.
위암의 전이는 주로 위벽의 침범을 통해 주변 장기로 전이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원격전이의 경우 주로 복막, 림프성 전이, 간으로의 혈행성 전이의 형태로 관찰됩니다. 좌측 쇄골위 림프절 (Lt. supraclavicular LN) 에 전이가 있는 경우, 그 림프절을 Virchow’s node 라고 부르며, 림프절의 생검이 필요합니다. 난소에 전이된 위암을 Krukenberg’s tumor 라고 부르며 이는 림프 순환을 경로로 발생합니다.
위암은 특히 초반에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며, 체중 감소, 소화불량, 복통, 속쓰림 등 소화성 궤양이나 위염 관련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위암이 진행되면 (특히 유문부의 암에 의한) 협착이 생겨 구토나 복부 팽만감이 발생하거나, 복부의 덩이가 만져지기도 합니다.
치료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위암의 위치 (fundus 쪽인지, pylorus 쪽인지) 와 함께 TNM staging 을 통한 병기 판정이 중요합니다. 내시경 초음파(EUS)는 위벽에서 종양의 침범 깊이를 파악하는데, 즉 T stage 설정을 위해 쓰이며 동시에 주변 림프절 침윤 여부 확인을 통해 N staging 에도 도움이 됩니다. CT 검사는 림프절과 타 장기로의 원격 전이를 평가하기 위해 쓰입니다. CEA, CA 19-9도 도움이 되지만, 주로 수술/치료 후 재발 모니터링에 더 유용합니다.
조기 위암 중에서도 점막에 국한된 암은 적응증이 될 경우 내시경적 치료인 ESD(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로 치료될 수 있습니다; 이때 암은 크기가 2cm 이내이며 분화도도 중등도 (moderate) 이상이어야 하며, 림프계/혈관 침범이 없어야 합니다. 이때, 조기 위암의 아형이나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조건이 더 엄격해질 수도 있기에 개별화된 접근이 중요합니다.
수술 후에도 첫 1년 동안은 3-6개월 간격의, 그 이후에는 6개월-1년 간격의 추적 검사가 필요하며 H.pylori 제균도 필요합니다.
만약 원격 전이가 없는 국소 암인 경우 수술의 적응증이 됩니다. 선택되는 술식은 위 내에서 암의 위치와 범위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약 위 원위부 (pylorus 쪽)의 ⅓ 내에 국한되는 경우에는 원위 위 절제술 (distal gastrectomy) 또는 위아전 절제술 (subtotal gastrectomy)가 시행됩니다. 하지만 위의 근위 2/3를 침범하는 암일 경우 위 전절제술 (total gastrectomy) 의 대상이 됩니다. 암이 고유근층 (proper muscle) 또는 림프절을 침범하였을 경우 adjuvant 항암 화학 요법도 필요합니다.
원격 전이 등으로 수술이 불가할 경우에는 증상 개선을 위한 고식적인 치료가 이루어지며, 위장관 폐쇄 완화를 위한 스텐트 삽입, 방사선 치료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REF) NCCN guidelines 2022-2
'소화기내과(위장관) > 암, 악성종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스탈리맙 (Dostarlimab), MSI-Hig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0) | 2022.07.03 |
---|---|
관례적 검사 권유 (0) | 2020.11.19 |
Neuroendocrine neoplasms의 grading 평가 (mitotic activity, Ki-67 labeling index) (0) | 2020.08.26 |
Lynch syndrome에서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mismatch repair (MMR) genes이란? (0) | 2020.08.24 |
이소성 췌장, Pancreatic rest, ectopic pancreas, aberrant pancreas, heterotopic pancreas (0) | 2020.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