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화기내과(위장관)/위내시경

'헬리코박터균 누구나 다 있다던데요', '그냥 놔두어도 괜찮다던데요'

728x90
반응형

위축성위염이 아주 심하고 헬리코박터 균이 있어 제균치료를 권유했는데 다음과 같이 이야기를 가끔 듣습니다.

헬리코박터균 누구나 다 있다던데요

그냥 놔두어도 괜찮다던데요

다음 나오는 이야기는 자세한 구구절절한 이야기이고 외래에서 이렇게 자세히 이야기 하지 못합니다. 대기 환자가 있으면 헬리코박터균과 위암과의 관련성, functional dyspepsia와의 관련성을 간략히 이야기 하고 제균을 권유하는 편이고 대기하는 환자가 없으면 아주 길게 설명을 하고는 합니다.

그런데 이런 말을 들으면 반박하기가 그렇습니다. 저는 개인의원 의사이고 대학병원 교수가 이야기 했다고 하니깐요.

아마도 소화기내과 교수는 아닐 것 같습니다. 소화기내가 교수면 이런 말 못 합니다.

내가 아는 대학교수가 그러던데

헬리코박터균 아무 것도 아니라고 치료 안해도 된다던데요

Adenocarcinomas는 위에서 생기는 암의 90 % 이상을 차지하고 2가지의 구별되는 morphologic types이 있습니다. Intestinal-type과 diffuse type입니다. 위점막 phenotypic changes의 일련의 단계는 intestinal type adenocarcinomas의 carcinogenesis 모델로 가정되었습니다. Superficial gastritis, chronic atrophic gastritis, intestinal metaplasia, dysplasia, carcinoma가 그것입니다. Diffuse type에서는 유사한 단계가 설명되지는 않았습니다.

헬리코박터균은 carcinogenesis sequence의 초기 단계에 있는 chronic active gastritis와 atrophic gastritis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동물 모델에서 헬리코박터 감염은 위 선암을 유발시켰습니다. 더구나 많은 사람에서 시행된 연구들은 헬리코박터 감염과 위 선암과의 관련성을 입증했습니다. 관련성은 위암의 intestina type과 diffuse type 모두에서 입증되었습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H.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carcinogenesis in humans can be illustrated by the following observations:

H. pylori has been identified histologically in the uninvolved mucosa from stomachs harboring cancers or precancerous changes (eg, atrophic gastritis with or without accompanying intestinal metaplasia).

Epidemiologic studies demonstrate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H. pylori seropositivity and gastric cancer. As an example, the EUROGAST study of 17 populations from 13 different countries (11 European countrie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found a sixfold increased risk of gastric cancer in H. pylori-infected populations compared with uninfected populations. Similar findings have been noted in nested-case control studies in which the stored serum of patients with known gastric adenocarcinoma and that of matched controls were tested for H. pylori IgG antibody. H. pylori infection was associated with odds ratios ranging from 2.8 to 49 and attributable risks of 46 to 63 percent. In a nested case control study of Japanese Americans living in Hawaii, for example, H. pylori seropositivity was present in 94 percent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compared with 76 percent of matched controls; the odds ratio was 6.0.

Two meta-analyses of cohort and case control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 pylori seropositivity and gastric cancer found that H. pylori infection was associated with a twofold increased risk for developing gastric adenocarcinoma]. The relative risk for gastric cancer was greatest for younger patients (9.29 at age less than 29) in whom the absolute risk is still quite low.

One of the largest prospective studies addressing H. pylori and cancer risk included 1526 Japanese patients of whom 1246 had H. pylori infection. Patients underwent endoscopy with biopsy at enrollment and then between one and three years after enrollment. During a mean follow-up of 7.8 years, 36 patients developed gastric cancer (2.9 percent), all of whom were H. pylori infected. No uninfected patient developed cancer.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estimates that 36 and 47 percent of all gastric cancers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respectively, are solely attributable to H. pylori infection. This accounts for almost 350,000 gastric cancers annually worldwide. One report indicated that of the 12.7 million new cancers occurring in 2008, the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due to infections was over 16 percent for H. pylori.

위 선암과 헬리코박터 사이의 분명한 관련성에도 불구하고 감염된 환자의 소수에서만이 위암이 생깁니다. 외부 요인, 대부분 환경 적 요인 (그리고 아마도 H. pylori의 균주 차이)에 의한 감염 효과의 조정이 감염이 암 또는 비신생물 과정을 초래하는지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30대 남자

2018.09월 위내시경이고 헬리코박터 양성이었습니다.

 

 

 

2년이 지난 2020.06월 위내시경입니다. 같은 부위인데 비교해 보시면 위축성 위염이 진행된 상태입니다.

 

 

 

 

밝혀진 이론으로 가정해 볼 때

헬리코박터균을 없애지 않으면 이렇게 더 진행할 것이고

 

 

 

 

 

더 진행되면 위축성위염의 범위도 넒어지고 장상피화생으로 변할 것입니다.

 

 

 

 

이런 진행을 보이는 모든 환자들에서 dysplasia가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소수이기는 하지만 )

감염이 없는 사람들보다는 감염이 있는 사람들에서 높은 비율 dysplasia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위축성위염이 있는 병변에서

 

 

 

다음과 같이 8개월 후에 adenoma가 생긴 처럼 atrophic base에서 잘 생깁니다.

 

 

 

 

헬리코박터 제균을 위한 약제 복용이 힘들 수 있고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100:100이면 약값도 비싸기도 하고

제균 실패하면 또 약 먹어야 하지만...

우리나라 10명 중 6명이 헬리코박터균이 있다고 별 것 아닌 것은 아닙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