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P4 썸네일형 리스트형 심혈관 안전성에 대한 당뇨병약제 결과 2008년 이후 FDA는 당뇨약제에 대해 심혈관 안전성에 대한 큰 시험 평가를 요구합니다 임상시험들과 데이터에 근거할 때 SGLT2억제제인 empagliflozin, canagliflozin과 GLP1 agonist인 liraglutide, semaglutide, dulaglutide가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심혈관 morbidity와 mortality를 감소시키는 것 같습니다. 메트포민, 글리메피리드, 글라진, 단기간의 DPP4억제제는 심혈관위험을 높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Saxagliptin 예외) TZD는 체액 증가와 심부전 위험을 높이지만 인슐린저항성과 최근 뇌졸중 또는 TIA가 있었던 환자에서 피오글리타존은 심혈관 사건을 줄이는 것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 DPP4 억제제와 염증성 장 질환 위험 가능성, DPP4 inhibitors and possible risk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United Kingdom Clinical Practice Research Datalink의 자료를 이용한 population-based study에서 DPP-4 억제제 사용은 다른 당뇨병 약물에 비해 염증성 장 질환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습니다(53.4 대 34.5/100,000 인년, HR 1.75 , 95 % CI 1.22-2.49). 추적 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3.6 년이었습니다. 이 위험은 약제 사용 3 년에서 4 년 사이에 최고로 높았고 4 년 이후에는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가능한 기전에 대한 추가 조사와 확인을 필요로 합니다. REF. UpToDate 2018.05.17 BMJ. 2018 Mar 21;360:k872. doi: 10.1136/bmj.k872. 슈글렛의 적응증 및 보헙급여 인정 기준, Suglat, ipragliflozin, indication, reimbursement DPP4 억제제, 약제별 주의사항, 용법·용량 조절 DPP4 억제제, 약제별 주의사항, 용법·용량 조절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