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칼리증 썸네일형 리스트형 Differential diagnosis of metabolic alkalosis Differential diagnosis of metabolic alkalosis Normal blood pressure or hypotension Low spot urine [Cl] (20 mEq/L) Generally chloride (saline) unresponsive Vomiting/nasogastric tube suction Bartter syndrome Congenital chloride wasting diarrhea (chloridorrhea) Gitelman syndrome Villous adenoma* Chronic laxative abuse* Cystic fibrosis Status post reversal of chronic hypercapnia Loop or thiazide diu.. 대사성 알칼리증과 저칼륨혈증 ! 대사성 알칼리증과 저칼륨혈증 저칼륨혈증은 대사성 알칼리증 환자에서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저칼륨혈증은 알칼리증의 발생과 유지에 중요한 기여 인자입니다. 칼륨 소실과 저칼륨혈증은 다양한 방법으로 대사성 알칼리증과 상호작용합니다. ㉮구토, 이뇨제, mineralocorticoid excess와 같은 대사성 알칼리증의 원인들이 신장의 칼륨 소실의 직·간접적으로 유도합니다. ㉯칼륨 고갈은 칼륨이 세포 안에서 밖으로 이동하도록 합니다. 이 칼륨의 세포 이동은 전기적 중성을 유지하기 위해 세포 밖 H+이 안으로 이동하도록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 이와 같은 이온 이동들은 동시에 혈장 HCO3- 농도를 증가시키고 세포 내 pH를 낮춥니다. Renal tubular cells에서 이것이 발생하는 범위 내에서 세포 내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