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장내과/급성관상동맥증후군

RVMI에서 preload를 증가시키기 위한 intravenous fluid (보통 isotonic saline)

728x90
반응형

RV infarction에서 bradyarrhythmias와 tachyarrhythmia가 발생하고 일부 환자에서 poor short-term outcome에 기여합니다. Bradycardia는 허혈로 인한 sinoatrial 또는 AV nodal dysfunction, cardioinhibitory reflexes 활성화 때문에 발생합니다. AV block이 없는 sinus bradycardi와 저혈압의 존재는 ischemic RV뿐만 아니라 ischemic LV inferoposterior wall에 위치한 vagal afferents의 자극으로부터 생긴 cardioinhibitory (Bezold-Jarisch) reflexes 가능성을 높입니다. Tachycardia와 fibrillation을 포함한 심실 부정맥은 RVMI의 ~1/3에서 발생합니다.

RVMI의 치료는 다른 acute ST-elevation MI 치료와 비슷합니다. Dual oral antiplatelet(아스피린 + platelet P2Y12 receptor blocker), statin therapy, anticoagulant 사용이 그것입니다. 그러나 약물 사용에 주의가 필요한데, 흉통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opioids과 nitrates는 preload를 감소시킬 수 있고, betablocker와 CCB는 심박수와 contractility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추후에 정리를 할 계획이지만, RVMI 환자들에서 right dysfunction과 left ventricular dysfunction의 상대적인 기여가 다릅니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혈역학에 대한 치료는 환자들마다 상대적인 좌우 심실 기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적 조치를 위해서 심장초음파가 필요하며, 일부 환자에서는 혈역학적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만일 predominant RVMI로 인한 저혈압 환자라면, 치료는 right ventricular output을 개선시키는데 중점을 둡니다. 이것은 right ventricular preload와 afterload를 최적화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조치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라면 right ventricular contractility를 개선시키기 위한 inotropic support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right ventricular output을 최적화하는 것은 적절한 pacing으로 bradycardia 또는 atrioventricular dyssynchrony를 역전시키는 것을 필요로 합니다.

Rt ventricular preload를 최적화시키는 방법은 intravenous fluid (보통 isotonic saline)는 ①폐울혈이 없으면서 low cardiac output (hypotension, hypoperfusion, low or normal jugular venous [JVP] pressure)의 증거가 있거나 ②우심부전의 증거가 있는 환자에게 투약해야 합니다. 이것은 preload를 증가시키기 위해 행해지며 따라서 우심실에서 나가는 혈류를 증가시킵니다.

REF. UpToDate 2019.10.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