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구체 썸네일형 리스트형 MPGN에서 hypocomplementemia 소견 MPGN에서 hypocomplementemia는 흔한 소견입니다. MPGN은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에 근거하여 2가지 주된 type으로 구분합니다. Immune complex-mediated와 complement-mediated입니다. 모든 type의 MPGN은 hypocomplementemia가 일반적입니다. Immune complex-mediated MPGN에서 complement activation은 classic pathway를 통하며, 전형적으로는 정상 또는 약간 감소한 혈청 C3 농도와 감소한 혈청 C4 농도를 보입니다. Complement-mediated MPGN은 alternate pathway 활성화로 인하여 보통 낮은 혈청 C3 농도와 정상 C4 농도를 나.. Most adult cases of persistent isolated hematuria due to glomerular disease 현미경적 혈뇨이면서 급성 신손상이 있거나 사구체 출혈을 시사하는 환자는 신장내과로 의뢰되어야 합니다. 사구체 출혈을 시사하는 소견이 없고 암 위험인자가 없고 비뇨 질환의 병력이 없는 비임신 환자는 영상검사 또는 방광경 검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수 년 동안 지속적이고 설명되지 않는 현미경적 혈뇨 환자에서는 신장내과 평가와 영상 검사가 적합할 수 있습니다. Glomerular hematuria는 종종 단백뇨, 부종, 고혈압, GFR 감소와 같은 이상들을 포함하지만, 오직 지속적인 현미경적 혈뇨만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Isolated hematuria라는 뜻은 정상 알부민 배설, 정상 혈청 크레아티닌, 정상 혈압이면서 무증상인 환자에서 발생하는 혈뇨입니다. Isolated라면 지속적(persist.. 진통소염제 복용으로 부종이 생기는 이유, NSAIDs, edema 신장 혈관 확장성 프로스타글란딘은 loop of Henle와 cortical collecting tubule에서 나트륨 재흡수를 저해하는데 비선택적 NSAID와 선택적 COX-2 억제제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이 억제 효과를 제거하므로 sodium retention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치료로 건강한 사람은 0.5 – 1 kg까지 체중 증가가 있을 수 있으며, sodium과 water retention의 정도는 기저 심부전과 간경화 환자에서 좀 더 두드러집니다. NSAIDs로 인한 sodium reabsorption의 증가는 이뇨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게 만듭니다. 고혈압으로 인한 이뇨제 복용은 effective volume depletion을 의미하며, 이 상황에서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억제하는 N.. Renal 또는 perinephric abscess의 parenteral antibiotics Renal 또는 perinephric abscess의 parenteral antibiotics① 경험적 치료 - 경험적 항생제 선택은 농양의 의심되는 병원균에 달려 있습니다. 신우신염과 관련된 농양 상황에서, 경험적 치료법은 Enterobacteriaceae를 대상으로 해야 합니다. 대조적으로, 포도상구균 균혈증과 관련된 농양의 경우, 치료는 이 병원균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원인균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perinephric 농양에서, 농양이 미생물학적으로 유일한 표본일 수 있으므로 drainage를 즉시 시행할 수 있고 환자가 안정적이라면 경험적 항생제는 지연될 수 있습니다. 초기 경험적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비경구로 투여됩니다. 일부 항생제 옵션은 표 (표 1)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초기 경험적 항.. 일차성 사구체신염의 진단, 대한내과학회지, 2013 사구체 질환은 염증성 혹은 비염증성 기전에 의해 사구체가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환들을 총칭한다. 그 원인이 확실하지 않으면 일차성(혹은 특발성) 사구체 질환(primary or idiopathic glomerular disease)이라고 하고, 전신 질환에 의해 발생한 경 우에는 이차성 사구체 질환이라고 한다. 일차성 사구체 질환은 대개 소변 검사에서 혈뇨나 단백뇨 등의 이상이 발견되는데, 특별한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 혈뇨나 단백뇨가 별로 심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중요한 사구체신염의 진단이 늦어지기도 한다. 사구체 질환의 임상적인 분류 사구체 질환은 임상적으로 무증상성 요이상(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y),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