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화기내과(위장관)/식도

'호산구성 식도염'과 'PPI 반응 식도 호산구증' 구분과 처음 EoE 진단을 위해 PPI를 중단해야 하는가?

728x90
반응형

'호산구성 식도염'과 'PPI 반응 식도 호산구증'

 

 

'호산구성 식도염'과 'PPI 반응 식도 호산구증'

  • 병리기전은 완전히 이해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전전, 환경적, 개체 면역체계 요인이 관련되어 있음
  • 분자 분석을 통해 EoE는 호산구 결핍보다는 식도 epithelial function의 1차 결핍이 원인임이 밝혀짐 : This is best illustrated by the finding that genetic susceptibility is mediated by genes expressed by the esophageal epithelia rather than eosinophils. EoE 환자의 식도는 epithelial cell differentiation과 barrier function에 손상이 있음
  • 식도는 정상적으로 호산구가 없음!! 따라서 식도에 호산구가 있다는 것은 병적임을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EoE 또는 GERD임
  • EoE 진단을 위해서 처음에는 'PPI 치료에 호전되지 않는 식도 호산구증 존재'를 요구했었음. 그러나 식도 호산구증이 있는 상당수의 환자들이 PPI 치료에 반응을 하기 때문에 PPI-responsive esophageal eosinophilia (PPI-REE)라는 이름을 붙임.
  • 임상적, 내시경적, 조직학적, 분자학적 특징들로 EoE와 PPI-REE를 거의 구분할 수 없다는 생각이 점점 증가하고 있음.
  • 따라서 EoE 진단을 위해 PPI 치료를 해 보고 결정하는 것은 더 이상 진단을 위해 요구되지 않으며, 이제 PPI가 EoE의 치료 방법으로 간주됨.
  • 결국, EoE 진단은 임상 증상을 가진 환자의 식도 조직의 호산구 수에 의해서만 가능 : 적어도 15개/HPF
  • EoE와 GERD를 구분하는 것은 따로 공부!

  1. 호산구성 식도염 진단을 위해 PPI 치료를 하고 2-3개월 후에 식도에 호산구 존재를 보는 것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음.
  2. PPI trial을 배제하는 합리적인 근거는 임상적/조직학적으로 EoE에 합당하지만 PPI에 조직학적으로 반응하는 PPI-responsive esophageal eosinophilia [PPI-REE]가 있고, 이것은 EoE와 구별되는 특징이 없음.
  3. 더구나 PPI에 반응했을지라도 이후에 EoE에 상응하는 증상과 식도 호산구증 재발이 있기도 하며
  4. GERD와 EoE가 빈번하게 동반되고 PPI는 위산 분비에 대한 효과와 무관한 기전으로 식도 호산구증을 호전시킴.
  5. 따라서 PPI-responsive esophageal eosinophilia는 EoE와 구별된 질환이라기보다 EoE의 하부 유형으로 간주됨

처음 EoE 진단을 위해 PPI를 중단해야 하는가?

처음 방문이지만 PPI를 복용하면서 내원하고 오기도 하므로 EoE 진단을 위해 PPI를 중단해야 하는가?

  • PPI trial 후 식도 호산구증이 호전되지 않는 소견이 EoE 진단을 위해 필요하지 않음을 앞에서 설명한 바 있음.
  • 역으로 PPI를 복용 중인 사람에서 식도 호산구이 호전되었다고 EoE가 아니라는 것도 없으며 PPI-REE 개념도 있음
  • 따라서 EoE가 의심되지만 식도 호산구증이 없고 PPI를 복용 중이라면 PPI를 중단하고 내시경 조직검사를 다시 해 볼 필요가 있겠다. 적어도 3주 중단!
 

Ref. UpToDate 2024.03.24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제69회 세미나 2024.03.24

728x90
반응형